금리 인상 '카운트 다운' 시작
금리 인상 '카운트 다운' 시작
  • 이민혜 기자
  • 승인 2014.10.31 01:00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돈 잔치는 끝났다"… 양적 완화 프로그램 종료 선언 따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聯準·Fed)가 29일(이하 현지시간) 양적완화(자산매입) 프로그램 종료를 선언함에 따라 글로벌 경제가 중대한 전환점을 맞게 됐다. 연준이 양적완화 종료 후속책으로 공언해온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일찍 단행될 경우 그 파급력은 한국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더욱 커질 전망이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종료 후 발표한 성명에서 “자산매입 프로그램으로 고용시장 전망이 상당히 개선됐으며, 물가안정 상태에서 완전고용 달성을 뒷받침할 수 있을 만큼 경제가 견조하다고 판단된다”며 “이달로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은 이날 성명을 두고 연준 내부에 매파(긴축 선호) 성향이 강해졌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연준은 연 0~0.25%의 초저금리 기조를 상당기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할 경우 (시장의)기대보다 더 빠른 시기에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고 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고 덧붙이긴 했어도 연준이 내년 중반으로 예상되던 기준금리 인상의 조기 단행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실제로 30일 미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미국의 3분기 성장률은 시장예상치(3.0%)를 크게 뛰어넘는 3.5%를 기록했다. 2분기(4.6%)보다는 다소 떨어졌지만,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에도 미국 경제가 나 홀로 선전하고 있음이 확인된 셈이다. 때문에 시장에선 조기 금리 인상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으며 폴 애시워스 캐피털이코노믹스 선임 연구원도 "GDP 보고서를 보면 연준이 매파적 목소리를 약간 키운 것이 타당하다는 점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결국 시기의 문제일 뿐, 금리 인상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만큼 국제 금융시장의 파동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스템은 양적완화 종료로 인해 한동안 불확실성에 직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신흥국이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금리차에 따른 수익을 노리고 신흥국으로 쏟아져 들어온 달러캐리트레이드 자금이 최대 취약점이다. 2조달러 규모로 추정되는 이 유입자금은 연준의 양적완화 종료가 가시화된 지난달부터 대규모 이탈 조짐을 보이고 있다. 9월 한달 동안 대만 증시가 4.9%, 베트남 4.3%,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1.1%씩 하락했고 채권시장에서도 자금이 유출되고 있다. 미국 양적완화 기간 중 발행잔액이 1조달러 이상 늘어난 해외발행 회사채, 대규모 투자자금 유입으로 가격거품 논란에 휩싸인 호주ㆍ홍콩 등의 부동산 시장도 신흥국 경제의 또 다른 뇌관이다.

다른 신흥국에 비해 경제 기초체력이 양호하다지만 한국 역시 이 같은 우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국내증시에 유입된 외국인 자본 역시 9월부터 3조3,000억원 가량 빠져나가면서 시가총액 대비 외국자금 비중이 지난해보다 0.75%포인트 낮은 34.5%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내 기업의 해외채권이 내년부터 3년 동안 300억달러 안팎씩 대거 만기가 도래한다는 점도 부담이다.

특히 국내 경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꼽히는 가계부채의 심화 우려도 크다. 미국 금리가 상승하면 우리도 결국 금리를 따라 올릴 수밖에 없고, 저금리 국면에서 부채를 대폭 늘린 가계의 경우 이자 부담에 허덕일 수밖에 없다.

수출도 낙관할 수만은 없다. 달러 강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강화로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에서 실적을 늘릴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신흥국 경기가 침체되면 되레 수출시장이 좁아지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 한국의 전체 수출 중 신흥국 비중은 중국 및 동남아시아만 해도 40%, 남미 등으로 범위를 넓히면 70%에 달한다. 더구나 일각에선 양적완화 종료가 미국 경제의 회복세를 꺾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