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확' 바뀐 연말정산…환급액 고소득자 줄고 저소득자 늘어
<세금>'확' 바뀐 연말정산…환급액 고소득자 줄고 저소득자 늘어
  • 강민성 기자
  • 승인 2014.12.09 15:05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봉 5천500만원 기준 희비 엇갈릴 듯…세액공제 첫 적용 탓

 
다음 달 시작하는 2014년분 연말정산에서는 자녀 2명까지는 1인당 15만원씩, 3명째부터는 20만원씩 환급받을 수 있다.

월세는 최대 75만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고, 총소득에서 각종 공제를 뺀 과세표준 구간이 1억5천만원을 넘으면 38%의 최고세율이 적용된다.

올해 근로소득은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전환한 올해 세법개정의 첫 적용사례라는 점에서 고소득자일수록 환급액이 줄고, 저소득자는 늘어나 소득구간별 근로자들의 희비가 크게 엇갈릴 전망이다.

국세청은 8일 이런 내용을 주요 내용으로 한 '2014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종합안내' 자료를 발표했다.

이번 연말정산에서는 자녀 인적공제와 의료비·교육비·월세액 등의 항목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뀐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소득공제는 소득에서 공제 대상 금액을 빼고 남은 금액에 구간별 세율을 적용하지만, 세액공제는 소득에 대해 과세한 세금을 차감해 돌려주는 방식이다.

우선 자녀양육과 관련해 6세 이하는 1명당 100만원, 출생·입양시는 1명당 200만원이 소득공제되던 것이 자녀 2명까지는 1인당 15만원씩, 2명을 넘는 초과 1명당 20만원씩 세액공제되는 것으로 바뀐다.

자녀가 2명이면 30만원, 3명이면 50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의료비·교육비·기부금도 소득공제에서 지출액의 15% 세액공제로 바뀌고, 연금보험료와 보장성보험료는 12%의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월세액 소득공제도 세액공제로 전환되고, 공제 대상과 요건이 완화된다.

총급여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는 750만원 한도 내에서 연간 월세액의 10%인 75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종전에는 총급여 5천만원 이하 근로자가 500만원 한도 내에서 월세액의 60%까지 소득공제를 받았다.

월세액 공제는 무주택 세대주인 근로자만 대상이었으나 세대주가 주택자금공제나 주택마련저축 공제를 받지 않으면 세대 구성원인 근로자도 대상이 된다.

확정일자를 받지 않고, 주소지에 전입신고만 하면 된다.

체크카드·현금영수증·전통시장·대중교통 사용액은 소득공제율이 30%이지만 연간 사용액이 작년보다 많은 등의 요건을 갖추면 40%까지 공제된다.

총급여가 5천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소득공제장기펀드)에 가입하면 총급여가 8천만원이 될 때까지 연간 600만원 한도 내에서 납부액의 40%(24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도 신설됐다.

소득공제는 줄어드는 대신 세액공제 한도는 확대됐다.

총급여 500만원 이하는 80%에서 70%까지 소득공제 한도가 낮아지고, 총급여 1억원 초과분은 공제율이 5%에서 2%로 줄어든다.

대신 최대 50만원을 공제하던 세액공제는 최대 66만원까지 확대되고, 38% 최고세율 적용 과세표준 구간이 3억원에서 1억5천만원으로 인하된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작년 8월 세법개정안을 발표하면서 근로자의 세부담 증가가 없는 기준점을 연 소득 5천500만원으로 하고 그 이하에서는 2~18만원의 세부담이 감소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에 5천500만~6천만원 구간은 2만원, 6천만~7천만원 구간은 3만원의 세 부담이 늘어 환급액이 그만큼 줄어들 전망이다.

심달훈 법인납세국장은 "이번 연말정산은 달라지는 부분이 많아 관심이 필요하다"며 "개정된 세법 내용 등을 미리 확인해 빠짐없이 공제 혜택을 받기 바란다"고 말했다.

국세청은 간편한 연말정산을 위해 다음달 15일부터 소득·세액공제 자료를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www.yesone.go.kr)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