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교 연세대 교수 "백수오 효능 논문 근거부족…맹신은 금물"

연세대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서석교 교수는 4일 백수오의 효능과 관련된 논문이 국내외에 각 1편씩에 불과하며 해당 논문도 백수오의 효능 검증 논리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나온 첫 백수오 관련 논문(2003)은 백수오, 당귀, 이소플라본(콩에 함유된 식물성 여성호르몬)을 투여 받은 폐경기 여성 24명(평균 나이 45세) 중에서 58.3%가 갱년기 증상이 호전됐다고 주장한다. 미국에서 출간된 2012년 연구는 64명을 대상으로 백수오, 속단, 당귀가 각각 3분의 1씩 함유된 복합제를 복용하도록 한 결과, 폐경 증상이 개선됐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 교수는 "지금까지 출간된 관련 논문은 모두 백수오 단독으로 효능을 검증하지 않고 당귀 등 다른 물질과 섞은 혼합물을 투여해 효능을 비교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관련 실험에서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 결과가 나왔다 해도 백수오가 아니라 이미 효능이 검증된 당귀 등의 효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또 "이 논문들은 갱년기 증상 중에서 안면홍조나 땀 등 증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좋아졌는지 수치상으로 확인되지 않고 절대적인 표본 수도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백수오의 효능을 맹신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이코노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