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2인 美·中간에 '무역 대전(大戰)'이 일어날까.
오는 19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중 포괄적 경제대화'에 국제사회의 눈길이 쏠린다. 양국이 무역과 북한 문제로 이견이 큰 상황이어서 예리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포괄적 경제대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4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첫 정상회담을 한 뒤 합의한 '100일 계획'의 성과를 점검하는 자리다. 100일 계획은 양국 간 무역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이 14년 만에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승인하는 등 일정 부분 성과를 냈다.
최근 씨티그룹과 JP모건 등 금융기업들의 중국 내 영업을 허가하는 등 금융시장을 일부 개방했고, 지난 10일에는 신용등급 평가 서비스업에 대한 외국 기업 진출 제한을 해제했다.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종자 수입도 일부 허용했다.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을 대표하는 기구인 '미·중기업위원회'의 제이크 파커 부대표는 로이터통신과 인터뷰하면서 "중국이 약속을 이행하기는 했지만 더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면서 "중국 입장에서는 시장이 개방돼 있다고 보겠지만, 일부 부문의 경우 해외 기업들이 중국에서 실제로 영업을 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최근에는 철강 문제가 미·중 간 갈등의 불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파리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중국 등 외국 철강 업체들이 덤핑으로 미국 철강 산업을 죽이고 있다"며 추가 관세 부과와 수입량 할당제 등을 새 대책으로 내놓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 상무부는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미국 국가안보를 위해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에 규제를 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조사 중이며 조만간 조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대북 제재와 관련해 중국 기업에 대해 조사에 들어간 것도 갈등 요인이다. 양국이 100일 계획에 합의할 당시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 압박을 요구하면서 대중 통상 압박을 유보하는 전략을 취했다. 하지만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고, 급기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까지 발사하면서 양국 관계도 틀어졌다.
이미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과의 불법 거래를 이유로 단둥은행과 단둥즈청금속 등 중국 10개 기업에 대해 독자 제재하는 등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중 압박에 나서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중국 기업과 금융기관을 겨냥해 북한과의 정상적인 거래까지도 차단할 수 있는 '세컨더리 보이콧(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개인 제재)' 카드를 꺼낼 기세다.
국제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포괄적 경제대화에서 미국이 중국에 초강경 대북 제재에 동참하든지, 아니면 미국과 무역전쟁을 감수하든지 양자택일을 강요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