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와도 기지개 못펴는 유통업계...'악재 속출'로 한숨만
봄이 와도 기지개 못펴는 유통업계...'악재 속출'로 한숨만
  • 이보라 기자
  • 승인 2019.02.21 20:07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업이익 뒷걸음 속 출점 제한-카드수수료 부담까지...온라인 시장 확대로 입지 좁아져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보라 기자] 봄이 가까이 오고 있으나 유통업계는 좀처럼 봄기운을 느끼자 못하고 있다. 매출은 늘고 있으나 이익을 내지 못하는 탓이다. 또 내달에는 카드수수료 인상을 앞두고 있다.대형 유통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로 신규 출점이 제한되고, 온라인 시장 확대로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증가에 카드 수수료율 상승까지 겹치면서 불항의 늪에 빠졌다는 평가마저 나온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8개 카드사는 내달부터 연매출 500억원 이상의 가맹점에 대해 카드 수수료율을 최대 0.3%포인트 올리겠다고 지난달 말 통보했다.이에 따라 대형마트와 백화점 그리고 대형 프랜차이즈 등은 카드 회사들과 개별 협상을 진행 중이다.

유통업계의 경우 거래 금액이 크다 보니 카드 회사 입장에서는 우량 고객에 속한다. 때문에 수수료율 협상에서도 주도적으로 협상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지난 19일 금융당국이 나서서 대형 가맹점들이 카드사 수수료 인상 통보에 대해 받아들이지 않고 낮은 수수료를 고집할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경고장까지 날리면서 유통업계의 반발은 더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법적 처벌을 언급한 것은 여신전문금융업법(여전법)을 근거로 한 것이다. 대형 가맹점이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카드사에 부당하게 낮은 수수료율을 요구할 경우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 받을 수 있다. 사문화된 법이기는 하지만 정부까지 나서서 유통업계를 압박하는 모양새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로서는 불만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내 1위 대형마트인 이마트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9% 감소한 4628억원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매출은 17조491억원으로 전년보다 10% 가까이 증가했다.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과 이익 격차는 더 커진다. 매출이 7.2% 늘어나는 동안 영업이익은 58.9% 줄었다.

이렇게 매출은 늘면서 영업이익은 뒷걸음질친 곳은 이마트 뿐이 아니다. 편의점 1위 업체인 GS25와 GS슈퍼 등을 운영하는 GS리테일은 지난해 매출이 4.8% 늘어나는 동안 영업이익이 18.3% 줄었다. 현대백화점과 롯데하이마트는 매출을 전년 수준으로 맞췄지만 영업이익은 각각 9.4%, 10.1% 뒷걸음질쳤다.

홈쇼핑업계도 상황이 비슷하다. GS홈쇼핑은 매출이 1.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 감소했고 현대홈쇼핑과 롯데홈쇼핑은 영업이익 감소세(10.3%, 12.1%)가 매출 감소세(2.4%, 1.7%)를 크게 웃돌았다. 고가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는 백화점업계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유통업계가 큰 폭으로 이익이 줄어든 것이다.

문제는 이익 감소세를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업체들 역시 오프라인의 반등을 노리기보다는 온라인 시장을 강화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수수료율 인상을 받아들이는 대신 소비자 혜택을 줄일 수 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카드사가 수익 보전을 위해 대형 가맹점 수수료율을 올리는 것처럼 업계도 수익을 지키기 위해 할부 서비스나 무료배송 등 혜택을 줄여 나갈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 온라인 시장으로 소비자들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한 상황에서 혜택을 줄일 경우 소비자들의 이탈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소상공인, 자영업자 카드 수수료 부담을 낮추면서 카드사들이 수익 보전을 위해 대형 가맹점 수수료를 인상하는 것으로 밖에 비춰지지 않는다”면서 “현재와 같이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식의 정책은 중소 상공인과의 상생이 아니라 유통업계 생태계를 망치는 악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