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에 수십조 퍼부었지만"…소득격차 다시 벌어졌다
"저소득층에 수십조 퍼부었지만"…소득격차 다시 벌어졌다
  • 이종범 기자
  • 승인 2019.08.22 15:18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 2분기 가계동향조사' 발표…5분위 소득이 1분위의 5.3배로 2분기 기준 역대 최고
저소득층과 고소득층간의 소득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간의 소득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서울이코노미뉴스 이종범기자] 정부가 저소득층의 소득 개선을 위해 수십조원을 퍼부었지만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의 소득 양극화는 역대 최대수준으로 벌어졌다. 경기 부진 등으로 저소득층의 소득은 제자리걸음한 반면 고소득층은 임금 상승 등에 힘입어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22일 발표한 '2019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2분기 전체 가구(2인 이상 가구)의 한달 평균 소득은 470만4200원으로 전년보다 3.8% 증가했다.

분위별로 보면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한달 평균 132만5500원으로 전년보다 600원(0.04%) 늘어 감소세가 6분기 만에 멈췄다. 지난해 1분기(-8.0%)를 시작으로 2분기(-7.6%), 3분기 (-7.0%), 4분기(-17.7%), 올해 1분기(-2.5%)까지 5분기 연속 감소했다.

1분위 사업소득은 15.8% 늘었지만 근로소득(-15.3%)과 재산소득(-37.6%)은 뒷걸음질했다. 1분기 근로소득은 지난해 1분기부터 6분기 연속 감소했다.

반면 5분위 명목소득은 한달 평균 942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3.2% 늘어 1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근로소득이 4.0% 늘어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다.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중간 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1년 전보다 각각 4.0%, 6.4%, 4.0%씩 늘어 전체 가계의 명목소득 증가율(3.8%)을 상회했다.

2분기 전체 가계의 명목 처분가능소득은 2.7% 증가해 2015년 2분기(3.1%) 이후 최대폭 늘었다. 1분기에 금융위기 여파가 한창이었던 2009년 3분기(-0.7%) 이후 처음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저소득층의 소득감소세는 멈췄지만 상·하위 계층간 소득 격차가 벌어지면서 소득 양극화 정도는 2003년 소득분배지표 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악화했다.

국민소득의 분배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2분기 5.30배로 전년(5.23배)보다 0.07배포인트 상승해 같은 분기 기준 200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시장소득 기준 5분위 배율 9.07배에 비해서는 3.77배포인트 개선돼 정책효과도 2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을 1분위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며, 가구별 가구원 수를 고려해 계산한다. 그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2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15년 4.19배를 저점으로 2016년(4.51배), 2017년(4.73배), 2018년(5.23배) 등으로 악화했다.

전체 가계의 소득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2분기 전국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70만42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8% 늘었다. 증가 폭은 2018년 3분기(4.6%) 이후 가장 크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2분기 실질소득도 2014년 1분기(3.9%) 이후 최대폭인 3.2% 증가해 7분기째 증가했다.

2분기 명목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16만9200원으로 1년 전보다 4.5%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90만8500원으로 1.8% 감소해 3분기 연속 줄어들었다.

재산소득은 2만4900원으로 7.0% 증가했고,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소득 등을 뜻하는 이전소득은 58만800원으로 13.2% 늘었다. 비경상소득은 44.6% 줄어든 2만800원이었다. 비경상소득은 경조 소득이나 퇴직수당과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