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이대로 안된다...50년래 최저치 0.92명
출산율 이대로 안된다...50년래 최저치 0.92명
  • 윤석현 기자
  • 승인 2020.08.26 15:42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출생아 30.1만명 출산율 OECD 37개국 중 꼴찌
인구감소 추세 빨라져...보육,교육,제도적 대책마련 시급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우리나라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0.92명을 기록했다. 한국은 2018년(0.98명)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에서 출산율 꼴찌를 기록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출산율 0명대 국가’가 됐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9년 인구동향조사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92명을 기록했다. 1970년 출생 통계 작성이래 최저치다. 여성이 가임 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하는 평균 출생아 수가 한명도 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합계출산율은 2016년 1.17명, 2017년 1.05명으로 1명대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2018년(0.98명) 처음으로 1명 아래로 떨어진 뒤 2년 연속 0명대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2만3700명(7.3%) 줄어든 30만3100명으로 간신히 30만명대를 턱걸이했다. 올해 출생아수는 처음으로 30만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에서 6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는 14만2663명으로 전년(15만8425명)에 비해 9.9%나 감소했다.  약 10% 감소가 지속된다면, 올해 출생아 수는 26만~27만명 수준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OECD는 37개 회원국의 합계출산율을 매년 조사해 발표해오고 있다. 인구를 현상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1명이다. 하지만 한국은 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OECD 회원국 평균(1.63명)은 커녕 초(超)저출산 기준(1.3명)에도 못 미치는 꼴찌다.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이스라엘(3.09명)이었다. 1명의 여성이 평균 3명의 자녀를 낳는다는 얘기다. 가족을 중시하는 유대인의 문화와 종교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 뒤를 멕시코(2.13명), 터키(1.99명), 프랑스(1.81명), 콜롬비아(1.81명) 등이 이었다.

대표적인 저출산국가로 알려진 일본(1.42명), 그리스(1.35명) 등의 합계출산율도 한국보다는 높았다. OECD 통계에서 한국 바로 다음으로 합계출산율이 낮았던 국가는 스페인(1.26명)이었다.

합계출산율 1명이하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인구감소 추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장기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28년 519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9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16년 추계 때 발표한 2032년보다 3년 앞당겨진 것이다.

총인구는 2044년에 5000만명 벽이 깨진 뒤 2066년 3000만명대로 낮아져 100년 뒤인 2117년에는 2081만명에 그치게 된다. 그러나 이런 전망조차 합계 출산율이 1.27명 수준을 유지하고 외국에서 인구 유입이 이뤄진다는 가정에 바탕한 것이다.

통계청은 합계출산율이 2021년 0.86명까지 떨어진 뒤 반등해 2028년 1.11명, 2040년 1.27명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신생아 수도 2020년에 30만명 벽이 잠시 깨졌다가 2022년 다시 30만명대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겠다면서 지난 2018년 26조3000억원, 2019년 32조3000억원, 올해 37조60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다.  지자체들도 출산지원금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출산 장려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아동수당, 출산장려금 등으로는 인구감소 추세를 역전시킬 수 없다고 지적한다. 한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의 현금 지원만으로는 부부들이 아이를 더 낳도록 유도하기 어렵다"면서 "보육과 교육정책을 대대적으로 전환해야 하고, 특히 외국인 인력유입과 이들이 출산해서 자녀를 기를 수 있는 법적,제도적 환경을 구비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