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인구 첫 50% 돌파…'익어가는 고령사회'
수도권 인구 첫 50% 돌파…'익어가는 고령사회'
  • 한지훈 기자
  • 승인 2020.08.28 15:42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위연령 43.7세…생산연령인구 5명이 고령인구 1명 부양
일반가구 2034만가구 중 1인 가구 30%,고령인구 15.5%
내국인 5000만명,외국인 178만명,평균 가구원수 2.39명
수도권 인구가 처음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총 인구는 5178만명이며 이중 절반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유소년과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는 증가했다. 국민을 나이순으로 줄세울 때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43.7세다.

◇수도권 인구 사상 첫 50%대 돌파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9년 등록센서스 방식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 인구는 5178만명이다. 1년전 5163만명보다 15만명(0.3%) 늘었다. 남자가 2595만명, 여자가 2583만명이다. 남녀 모두 전년보다 각 7만명(0.3%)씩 늘었다.

내국인은 5000만명, 외국인은 178만명이다. 1년 전보다 내국인은 2만2000명(0.04%) 늘었고 외국인은 12만7000명(7.7%) 늘었다.

수도권 인구는 2589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0.0%를 차지했다. 1년 전 2571만명보다 18만명(0.7%) 늘었다. 경기 1330만명(25.7%), 서울 964만명(18.6%), 인천 295만명(5.7%) 이었다. 수도권 인구가 50%대로 올라선 것은 사상 처음이다. 2000년 수도권 인구 비중은 46.3%였다.

수도권 이외에선 부산(337만3000명·6.5%)과 경남(334만7000명·6.5%)이 300만명을 넘었다.

1년간 인구증가율이 높은 시도는 세종(8.2%), 경기(1.5%), 제주(1.0%), 인천(0.5%) 등이다. 감소율이 높은 시도는 대전(-0.8%), 부산(-0.7%), 대구(-0.6%), 전북(-0.6%) 등이다. 시군구 단위로 보면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 화성(6만1000명)이며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경기 부천과 서울 노원(각 1만2000명)이다.

외국인은 전체 인구의 3.4%인 178만명으로 108만5000명(61.0%)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시군구는 충북 음성(13.4%)과 서울 영등포(12.2%) 등이다.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이 53만7000명(30.2%)으로 가장 많고 중국 22만명(12.4%), 베트남 19만7000명(11.1%) 순이다.

◇늙어가는 대한민국…생산연령인구 5명이 고령인구 1명 부양

5세 단위 연령별로 보면 45∼49세 인구가 430만7000명(8.6%)으로 가장 많고 50∼54세가 419만2000명(8.4%), 55∼59세가 416만8000명(8.3%)이다. 내국인의 중위연령은 43.7세로 1년전 43.1세보다 0.6세나 올랐다.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했으나 고령인구는 늘어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0∼14세 유소년인구는 631만명(12.6%)으로 1년전 648만명(13.0%)보다 17만명 줄었고,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3594만명(71.9%)으로 1년전 3610만명(72.2%)보다 16만명 감소했다.

반면 65세이상 고령인구는 775만명(15.5%)으로 1년전 739만명(14.8%)보다 36만명 증가했다. UN은 65세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이다.

2000년 29.2였던 유소년 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에 대한 유소년 인구비)는 지난해 17.6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노년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비)는 10.2에서 21.5로 상승했다. 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00년 35.0에서 2019년 122.7로 치솟았다.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은 곳은 17개 시도 중 13개(76.5%), 229개 시군구 중 188개(82.1%)다.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시도는 전남(22.9%), 경북(20.6%), 전북(20.3%) 등이다.

미혼모는 2만1000명(자녀 2만4000명), 미혼부는 7000명(자녀 8000명)이다.

◇1인 가구 30% 시대…20대 1인 가구수 112만

우리나라 총 가구는 2089만가구로 1년 전보다 39만가구(1.9%) 늘었다. 가족으로 이뤄진 가구나 5인이하 가구를 뜻하는 일반가구는 2034만가구로 36만가구(1.8%) 증가했다.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외국인가구는 53만가구로 3만가구(5.6%) 늘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는 1029만가구(49.3%)로 1년 전보다 25만가구(2.5%) 늘었다.

일반가구의 가구원수를 보면 1인가구(30.2%)가 가장 많았다. 2인가구(27.8%), 3인가구(20.7%), 4인가구(16.2%), 5인이상 가구(5.0%)가 뒤를 이었다. 1인가구와 2인가구는 각각 0.9%포인트와 0.6%포인트 늘었으나, 3인가구와 4인가구는 각각 0.3%포인트와 0.8%포인트 줄었다. 5인이상 가구도 0.4%포인트 감소했다.

일반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2.39명으로 1년 전보다 0.04명 감소했다.

1인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대전(33.7%)이고 가장 낮은 시도는 경기(26.3%)다. 연령별 1인가구 비율은 70세 이상이 18.4%로 가장 높았다. 20대(18.2%), 30대(16.8%)가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의 1인가구가 1년 전 102만 가구에서 지난해 112만가구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다문화가구(귀화자나 결혼이민자로 이뤄진가구)는 35만가구로 일반가구의 1.7%다. 결혼이민자는 베트남(4만명·24.3%)이 가장 많고 귀화자의 이전 국적은 한국계 중국(9만명·46.3%)이 가장 많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