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 47% 법원경매 거쳐도 보증금 못찾는다
세입자 47% 법원경매 거쳐도 보증금 못찾는다
  • 박지훈 시민기자
  • 승인 2020.10.21 11:08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진애 의원 "임차인 보증금 보호제도 개선 시급"
미수보증금 3500만원대...대전이 미수자비율 가장 높아
법원경매에 나온 주택들
법원경매에 나온 주택들

[서울이코노미뉴스 박지훈 시민기자] 집주인으로부터 임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 가운데 절반은 거주하는 주택이 법원 경매에 부쳐져도 보증금을 전액 또는 일부를 회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열린민주당 김진애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임대 보증금 미수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지난달까지 5년9개월 동안 법원의 경매로 넘어간 주택 3만9965가구 가운데 1만8832가구(47.1%)의 세입자가 보증금을 전액이나 일부 회수하지 못했다.

보증금 미수금은 배당 요구서에 기재된 임차인(임차인·전세권자·점유자·주택임차권자·임차권자)의 배당 요구액보다 배당액이 적은 경우를 말한다.

보증금을 전액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의 비율을 연도별로 보면 2015년 44.2%, 2016년 51.2%, 2017년 47.9%, 2018년 41.3%, 2019년 43.1%, 올해 9월까지 48.6%로 집계됐다. 법원 경매라는 최후의 수단을 통해서도 전세보증금을 완전히 회수하지 못하는 세입자가 매년 2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는 얘기다.

보증금 미수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71.7%)이었으며 광주(67.5%), 전남(64.0%), 충남(59.2%), 울산(55.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인천(24.7%), 제주(30.7%), 경북(32.2%) 등은 미수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같은 기간 가구당 보증금 미수금액은 2015년 3376만원, 2016년 3528만원, 2017년 3424만원, 2018년 3571만원, 2019년 3581만원, 올해 9월까지 4209만원으로 증가세다.

대법원 예규 등 법원경매 관련법에 따르면 경매로 처분된 주택은 경매집행비용과 최종 3개월분 임금, 퇴직금, 소액보증금, 당해세 등이 무조건 낙찰가액에서 가장 먼저 공제된다. 세입자인 임차인의 경우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가운데 늦은 날을 기준으로 배당 순서가 매겨진다. 순서가 뒤로 밀릴수록 그만큼 보증금을 전액 회수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한국 전세의 대부분은 임대인이 새로운 세입자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받아 기존 세입자에게 돌려주는 구조다. 이른바 깡통전세(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상황)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세입자가 큰 피해를 입는다.

김진애 의원은 "전세보증금이 사실상 재산의 전부인 서민 가구가 보증금을 떼이면 매우 큰 위험에 처하게 된다"면서 "임차인 보증금 보호를 위해 전세금반환보증 가입강화, 최우선변제금 확대, 확정일자 효력 즉시발효 등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