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죄는 데 NH은행 앞장…우대금리 인하, 주택대출 축소
가계대출 죄는 데 NH은행 앞장…우대금리 인하, 주택대출 축소
  • 박지훈 시민기자
  • 승인 2020.11.11 17:22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은행 연말 총량관리...일부대출 중단하고 DSR 조정
하나·우리은행은 MCI·MCG 대출 한시 중단
5대 시중은행

[서울이코노미뉴스 박지훈 시민기자] 연말을 앞두고 국내 주요은행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들어갔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지난 9일부터 주택관련대출을 내줄 때 적용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을 한시적으로 강화했다. DSR이란 소득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 비율을 뜻한다.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앞서 농협은행 주택관련대출은 DSR 100%까지 받을 수 있었지만, 9일부터는 DSR이 80%를 초과하면 대출이 거절된다. 주거용 오피스텔도 DSR 기준이 100%에서 80%로 강화됐다.

농협은행은 대출상품 우대금리도 연말까지 낮춰 적용하기로 했다. 주요 주택담보대출 최대 우대금리는 0.4%포인트, '신나는직장인대출'과 'NH튼튼직장인대출' 등 우량 신용대출 우대금리는 0.2%p 줄였다. 최종금리는 그만큼 높아진다.

농협은행은 비대면 직장인 신용대출 우대금리도 지난달에 이어 이날 한차례 더 내렸다. 이날부터 '올원 직장인대출'과 '올원 마이너스대출'의 우대금리가 0.7%p에서 0.5%p로 낮아졌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DSR 조정과 우대금리 인하는 올해 12월31일까지만 적용하고, 내년 1월4일부터는 이전 기준으로 다시 돌아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은행은 이달 16일부터 일부 주담대 상품 판매를 중단한다. 내부적으로 정해둔 한도 소진이 임박하자 '모기지신용보험(MCI)'과 '모기지신용보증(MCG)' 대출 신규취급을 한시 중단하기로 한 것이다.

해당상품은 가가호호담보대출(MCI), 변동금리모기지론(MCG), 원클릭모기지론(MCI), 혼합금리 모기지론(MCI, MCG), 아파트론(MCI, MCG), 월상환액 고정형 모기지론(MCI, MCG)이다. MCI나 MCG 대출을 이용하면 돈을 빌리려는 집주인이 소액임차보증금 만큼을 추가로 대출받을 수 있다. 이 대출이 중단되면 빌릴 수 있는 대출한도가 줄어드는 셈이다.

우리은행도 같은 이유로 MCI, MCG 대출을 연말까지 중단했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30일부터 연말까지 일부 경우에 한해 전세자금대출도 중단했다. 구체적으로 ▲임대인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선순위 근저당권 말소나 감액조건으로 전세대출을 받으려는 경우 ▲다른 은행에서 이미 전세대출을 받았으나 우리은행으로 갈아타려는 경우 전세대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측은 "전세자금대출 리스크 관리강화 차원에서 연말까지 전세대출 조건부 취급제한을 하는 것"이라며 "실수요자에게만 전세대출을 내주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최근 우리은행 전세대출 금리가 다른 은행보다 낮게 유지된 까닭에 9월과 10월 전세자금 대출잔액이 2조7000억원 넘게 급증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앞서 각각 9월과 10월에 이미 일부대출의 DSR 기준을 조정했다. 신한은행은 9월 개인신용대출 한도를 책정할 때 신규고객에게는 DSR 100%를, 기존고객에게 120%를 적용하던 것을 신규고객과 기존고객 모두 100%로 맞췄다. 국민은행은 KB무궁화신용대출(경찰청 협약)과 집단신용대출 DSR 기준을 기존 70%에서 지난달 16일 40% 이내로 조정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DSR 70% 초과대출을 전체대출의 15% 이내, 90% 초과대출 비중은 10% 이내로 제한하라는 금융당국 규제에 따라 자체 대출 실행기준을 수시로 조정한다"며 "게다가 올해 가계대출 총량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규제기준인 연말을 앞두고 판매중단과 금리조정이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주요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말 610조원에서 10월말 656조원으로 약 7.5% 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