웜홀 너머 가요 '옥경이'의 추억
웜홀 너머 가요 '옥경이'의 추억
  • 안태환
  • 승인 2021.02.04 14:02
  • 댓글 2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태환 칼럼] 30여 년 전, 혈기왕성한 의대 신입생이 되었을 때, 모르는 것 투성이였다. 열정은 샘 물 같았고 현실은 단단한 호두 표피 같았다. 생물, 화학, 물리 그리고 뜬금없는 한문까지 해야 할 공부는 도무지 끝이 없었다. 때론 난해했고 간혹 무기력했다. 숫자와의 싸움은 고교를 마치면 끝날 줄 알았다. 그러나 오판이었다. 모진 숫자와 수식 그리고 원소와 기호들은 아직 가야 할 공부가 산적했음을 일깨워 주었다.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가는 청춘의 푸른 꿈은 온통 아들 걱정 뿐인 어머니의 채근으로 채색되었다. 어느 날,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간 보세 옷집, 쉽사리 용기 내기 수월찮은 베이지색 양복은 일취월장 아들의 건투를 빌어 주시는 어머니의 서낭당이었고, 흰색 운동화는 시골 청년의 멋 내기 끝판 왕이었다. 서울 살이 내 첫 의상은 그랬다. 나고 자란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가기 전 가장 먼저 한 일이었다.

입학 후, 생경한 의대에 대해 ‘상투’에 가까운 관점으로 마냥 공부만 했다. 선배들이 풀이해 주고 가르쳐줘도 스스로 의사의 학습법을 익히는 데는 시간이 꽤 오래 걸렸다. 하긴 누군들 처음이 창대하겠는가. 나는 그렇게 의사의 길로 끈덕지게 걸어 들어가고 있었다. 흐릿한 기억이지만 의대 동기들의 모임 첫날이었다. 강의실에서 자기소개를 하며 불렀던 성스러운 입교 가는 ‘옥경이’였다. 그 후 나는 교내에서 자연스레 ‘태진아’로 불리었다. 유난히 흰색 양복을 선호하는 가수 ‘태진아’를 닮았었나 보다. 그렇게 트로트는 내 지난한 의대 생활 청춘의 인문학이었고 삶의 흔적이 되었다.

4분의 4박자를 기본으로 하는 트로트는 영어로 '빠르게 걷다', '바쁜 걸음으로 뛰다' 등을 뜻한다. 그러고 보니 나의 열혈 청춘의 자화상을 쏙 빼닮았다. 일각에는 트로트가 일본의 엔카에 뿌리를 둔 왜색 음악이라 비판하기도 한다. 또 일각에서는 재즈 템포의 4분의 4박자 곡으로 추는 사교댄스 연주 리듬을 일컫는 폭스트로트(fox-trot)의 영향을 받아 한국인의 정서가 녹아든 독자적 음악이라 평가한다.

허나 그 근원이 무슨 상관이랴. 트로트가 일본식 노래이기에 버려야 한다면, 미국식의 팝송과 힙합은 왜 버리지 않는가? 글로벌 시대에 감 떨어지는 꼰대식 발상이라며 청년들에게 몰매 맞을 일이다. 음악이 외래적이라 배격한다면 한류도 외국인들에겐 외래적이라 배척당할 것이다.

그야말로 트로트 전성시대이다. TV를 켜면 방송국마다 어김없이 트로트를 방영한다. 방송국에서는 다양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청자들의 이목을 끈다. 다양한 출연자들이 벌이는 경쟁 방식은 쫄깃하기도 하고 그들이 부르는 노래 가사에 잊었던 추억을 소환하기도 한다. 시청률도 가히 넘사벽이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온 국민이 트로트에 열광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대는 팬데믹이 가져온 문화 현상이다. 타인과의 거리 두기로 오랫동안 코로나 19로 지친 사람들 마음에 트로트가 위안을 주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트로트는 상실의 시대를 기록한 문장일지도 모른다.

호사가들은 트로트가 관광버스용 ‘위락 음악'이라는 거친 조롱을 일삼기도 한다. 그러나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트로트가 우리네 삶 속에서 지난 시간들을 아로새겼다는 것이다. 거대담론인 불의에 저항하거나 정의를 부르짖지 않아도 소소하지만 스며드는 개인의 언어로 민초들의 땀과 눈물을 위로했다. 나도 그렇게 위로받고 힘을 내었다. 새내기 의대생일 때 동기들 앞에서 낭랑하게 불렀던 노래를 너무 오래 잊고 있었다. 웜 홀(worm hole)을 넘나들어 30년의 시공을 초월해서, 막스 베버의 말대로 '분노도 편견도 없이' 나지막이 불러보는 옥경이, “너도 나도 모르게 흘러간 세월아”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필자소개

안태환

▪ 강남프레쉬이비인후과의원 강남본원 대표원장

▪ 이비인후과 전문의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박사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 서울 삼성의료원 성균관대학교 외래교수

▪ 대한이비인후과 의사회 전 학술이사

▪ 대한이비인후과 학회 학술위원

▪ 대한미용외과 의학회 부회장

▪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부회장

▪ 2017년 ‘한국의 명의 100인’ 선정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송진섭 2021-02-05 11:16:34
이 양반 글 맛깔나네 ㅎㅎ 나도 트롯 좋아합니다

윤진한 2021-02-05 02:34:23
국사 성균관(성균관대)자격뒤에서 왜구서울대극복은 서강대 학구파가유일.2차대전이전 세계지배세력 서유럽.교황윤허資格작용되면 가능한현실.양희은님주장대로 100서울대,국시110브[연세대>고려대]로살고 Royal성균관대(한국최고대)나 Royal서강대(성대다음예우)위로 점프不認定.대중언론통해 자격없는힘뭉쳐 이미지창줄수준.태학.국자감(北京大),볼로냐.파리대資格. http://blog.daum.net/macmaca/3139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