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채무누적...2년뒤 8%대 예산증가율을 5%로 줄인다고?
3년째 채무누적...2년뒤 8%대 예산증가율을 5%로 줄인다고?
  • 한지훈 기자
  • 승인 2021.08.31 14:22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8%대 증가율은 과도" vs "현상황 고려하면 더 늘려야"
나라살림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위기극복과 '2050 탄소중립' 실현 등 미래 대비를 위해 내년 예산도 확장적으로 편성했다.

지출이 수입보다 많은 적자 재정이 3년째 이어지면서, 내년에는 사상 첫 국가채무 1000조원 시대가 열린다. 

다만 세입 증가 등으로 수입도 늘어 적자폭은 올해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정부는 확장재정으로 경제가 회복되고 세수가 늘어 결과적으로 재정건전성이 개선되는 '재정 선순환'을 기대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3년째 '지출>수입'에 적자누적…국가채무 1068조 치솟아

정부는 31일 발표한 2022년도 예산안의 총지출은 604조4000억원으로, 총수입 548조8000억원보다 많다. 총지출이 총수입보다 많은 이례적 적자재정은 2020년도 예산부터 3년째 이어지고 있다.

적자가 쌓이면서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 965조3000억원까지 증가한 국가채무는 내년 1068조3000억원까지 치솟게 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올해 47.3%에서 내년 50.2%로 상승해 50% 선을 처음 넘어선다.

다만 내년에는 경기회복에 따른 세수여건 개선으로 수입이 늘어나면서 나라살림 적자폭이 올해보다 줄어든다. 통합재정수지 적자는 55조6000억원으로 올해 2차 추경의 90조3000억원보다 34조7000억원 감소하고, GDP 대비 적자비율도 4.4%에서 2.6%로 내려간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94조7000억원으로 올해(126조6000억원)보다 31조9000억원 줄고, GDP 대비 적자비율은 6.2%에서 4.4%로 하락한다.

◇'확장재정→경제회복→세수증대→건전성 개선' 선순환 구축 방침

정부가 이처럼 내년에도 적자를 감수하면서 확장재정 기조를 이어가는 것은 코로나19 위기극복과 미래 대비를 위해 여전히 '돈 쓸 곳'이 많다고 보기 때문이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은 "내년에 코로나19 위기를 완전히 종식하고 확고하게 경기를 회복해야 한다. 신(新)양극화에 선제 대응하고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런 재정소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불가피한 정책적 선택으로 확장적 재정운용 기조를 유지하려 한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확장재정으로 경제가 회복해 세수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재정건전성이 개선되는 '재정 선순환구조'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확장재정을 통해 조기 경제회복을 이루고 세수를 늘린 것처럼, 이번에도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입해 경제를 살리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국가 재정에도 도움이 된다는 논리다.

지난해와 올해도 재정투입을 늘려 성장률을 높이고 분배를 개선해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했다. 내년에도 경제회복세에 따라 세수가 늘어 재정수지가 개선될 것이라고 정부는 내다봤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2021∼2025년 평균지출 5.5%↑ 수입 4.7%↑…채무·적자 확대

정부는 내년 예산을 늘려 '재정 선순환구조'를 구축한 뒤 중·장기적으로는 재정건전성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내년 예산안과 함께 내놓은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2021∼2025년 연평균 재정지출 증가율을 5.5%로 제시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내리 8∼9%대의 높은 예산증가율을 설정해 왔으나, 2023년부터는 4∼5%대로 예산증가율을 묶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2021∼2025년 연평균 재정수입 증가율이 4.7%로, 재정지출 증가율보다 낮아 국가채무 증가와 적자폭 확대는 피할 수 없다. 내년 1000조를 처음 넘어서는 국가채무는 2023년 1175조4000억원, 2024년 1291조5000억원으로 불어난 뒤 2025년에는 1408조5000억원을 찍게 된다.

국가채무비율도 2025년 58.8%까지 치솟는다.

2025년 통합재정수지 적자는 72조6000억원,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09조2000억원에 이른다. GDP 대비 적자비율은 각각 3.0%와 4.6%다.

그러나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복지분야 의무지출이 증가하고, 내년 새 정부도 들어서는 점을 고려하면 2023년이후 예산증가율은 더 늘고 국가채무와 재정수지는 악화할 여지가 있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왼쪽 세번째)이 지난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2년 예산안 및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상세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지난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2년 예산안 및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상세브리핑 모습.

◇전문가 "8%대 증가율 과도" vs "현 상황 고려하면 더 늘려야"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위기를 맞은 문재인 정부는 마지막 예산인 내년도 예산까지 확장재정 기조를 유지했다.

그러나 재정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상당하다. 정부의 '재정 선순환' 기대에 대해서도 낙관적 시각이라는 비판이 있다. 올해의 경우 초과세수가 상당규모 발생했으나, 이는 재정투입에 따른 경기회복보다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시장 과열 영향이 컸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교수는 "경기회복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내년까지 8%대 지출증가율을 가져가는 것은 증가율을 하향조정하는 해외와 비교해봤을 때 과도하다"며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은 재정정책의 거시경제 확대효과가 작기에 재정을 투입한 만큼 경기가 부양될 것으로 보는 것은 너무 단순한 견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정부가 지출증가율을 마지막 해까지 8%대로 설정하고 내년 들어설 차기 정부부터는 5%대로 낮추자고 하는 것은 재정운용의 책임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현시점에서 재정을 푸는 것은 합리적이며, 오히려 예산규모를 더 늘려 적극적으로 '재정 선순환'을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코로나19 4차 확산상황 등을 고려하면 내년 예산이 적극적인 확장재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적자규모는 아직 다른 나라에 비해 적어 상대적으로 재정도 건전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  피해정도와 산업전환, 인구구조 변화 등을 고려하면 지원을 더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