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보라 기자] 6.1 지방선거에 출마한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 53명의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이 가구평균의 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당과 야당 모두 강남구청장 후보가 가장 많은 부동산 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6.1 지방선거 후보자 53명의 부동산 재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부동산 재산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후보는 서울 강남구에 출마한 국민의힘 조성명 후보다. 조 후보는 512.9억 원의 부동산 재산을 신고했다.
조 후보는 △서울 강남3구 대지, 아파트, 상가 등 5건 △경기도 고양시 오피스텔 및 상가 67채 △인천 상가 3채, 농지 등 토지 5만4000평 등의 부동산 재산을 신고했다.
역시 강남구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후보는 152억 원으로 두 번째로 많은 부동산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 아파트 1채, 빌딩 1채, 토지 2만평의 부동산 재산을 신고했다.
기초단체장에 출마한 후보들의 1인당 평균 부동산재산은 28억3000만원이다. 이 중 50억 원 이상이 5명, 30억~50억 원 미만이 4명, 10억~30억 원 미만은 22명이다. 10억 원 이상의 부동산 재산을 신고한 후보는 31명으로 전체의 58%에 달했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43억3000만원, 더불어민주당 15억9000만원, 정의당 1000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작년 12월 기준 통계청이 발표한 가구평균 부동산 재산은 3억7000만원이다. 후보자들의 평균 부동산 재산은 이보다 8배나 많다.
경실련은 대부분 부동산 재산 신고가 시세보다 낮은 공시가격 및 공시지가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 평균과의 격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수많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임대사업을 하고 있다면 성실하고 깨끗한 행정을 펼친 자격을 갖췄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