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김준희 기자]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 방역 당국은 이에 따라 감염병 위기 수준을 '주의'로 격상했다.
질병관리청은 22일 브리핑에서 “21일 인천공항으로 귀국해 의심 증상을 보인 내국인 A씨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유전자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확진자로 판정했다”
A씨와 같은 날 의심환자로 신고됐던 외국인 B씨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 B씨는 수두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와 관련, "공항 등을 통한 해외 입국자에 대한 검역 관리를 강화하고 국내 추가 발생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라"고 방역당국에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필요 시 현재 확보하고 있는 백신과 치료제가 의료현장에 신속하게 보급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추가로 3세대 백신과 원숭이두창용 항바이러스제 도입을 조속히 마무리하라"고 강조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A씨는 독일에서 지난 21일 오후 4시쯤 한국에 도착했다. 인천공항 입국 후 본인이 질병관리청에 신고해 공항 검역소와 중앙역학조사관에 의해 의사환자(의심자)로 분류됐다.
이후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에 이송돼 치료와 검사를 받은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
A씨는 입국 전인 지난 18일 두통 증상이 있었고, 입국 당시에는 37.0도의 미열과 인후통, 무력증(허약감), 피로 등 전신증상과 피부병변(병적 작용에 의해 피부 세포나 조직에 일어나는 변화)을 보였다.
역학조사 결과 A씨에 대한 고위험 접촉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이 나타난 지 21일 안에 접촉한 동거인, 성접촉자 등은 없었다는 것이다.

확진자가 발생하자 질병청은 이날 위기평가회의를 개최해 감염병 위기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
이에 따라 국장급이 이끄는 현재의 대책반(반장 감염병위기대응국장)을 질병관리청장이 본부장인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로 격상해 다부처 협력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원숭이두창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증상은 두창과 유사하나 중증도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로 유증상 감염환자와 밀접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원래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이 된 바이러스지만, 지난달 7일 영국에서 첫 발병 보고가 있고 난 뒤 세계적으로 확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