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강기용 기자] 철근·콘크리트 업계가 자재비 급등에 따른 공사비 증액 요구를 건설사들이 받아들이지 않자 본격적인 실력행사에 나섰다.
철근·콘크리트 서울·경기·인천 사용자연합회는 11일 공사비 협상에 비협조적인 13개 시공사의 공사현장 15곳에서 건물의 뼈대를 세우는 골조공사를 중단하는 ‘셧다운’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셧다운’ 대상 시공사에는 GS건설(2곳)·SK에코플랜트(1곳)·삼성물산(1곳) 등 대형 건설사도 포함됐다.
특히 삼성물산에서 시공 중인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 주택재건축정비사업 3공구)와 GS건설의 ‘판교밸리자이’ 등 수도권 주요 아파트 공사현장이 셧다운 대상에 포함됐다.
현재 서울·경기·인천 사용자연합회 소속 회원사는 총 95개 회원사로, 전국 공사현장 733곳의 골조공사를 맡고 있다.
당초 60개 현장이 셧다운 대상이었지만 45개 현장은 막판에 협상이 타결되면서 공사 중단 대상에서 빠졌다.
철근·콘크리트 업계는 자재비 급등에다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난으로 공사비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목재, 합판, 잡철물 등 자재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적게는 50%, 많게는 100% 가까이 뛰었다”면서 “그로 인해 발생한 손실분 중 일부만이라도 보전해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일부 골조공정이 중단될 뿐 공사현장 전체가 멈춰 서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조속한 공사 재개를 위해 성실하게 협상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철근·콘크리트 업계는 지난 3월에도 하도급대금 증액을 요구하며 전국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한 차례 공사 중단을 감행한 바 있다.
이후 4월에는 호남·제주 지역 업체들이 모든 건설현장의 공사를 중단했고, 5월에는 부산·울산·경남지부가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인상을 요구하며 셧다운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