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현재 국정과제 등으로 추진 중이지만 인공지능(AI) 홍수 예보, 도심 침수·하천 범람 지도 등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물 재해 예보·대응 체계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하천홍수 및 도심침수 관련 대책회의'를 주재하면서 이 같이 밝히고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불편을 겪은 국민께 정부를 대표해 죄송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기록적인 폭우에 따른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사상자가 나온 데 대해 국영운영의 최고 책임자로서 사실상 사과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 관악구 신림동 침수 사망 사고 현장을 방문한 일을 언급하며 “저지대 침수가 일어나면 지하 주택에 사는 분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는 불 보듯 뻔한 것"이라면서 ”향후에 이런 이상현상들이 이제 빈발할 것으로 보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 하천과 수계 관리 시스템이 있기는 하지만,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국가의 모든 물길에 대한 수위를 늘 모니터하고 시뮬레이션해서 즉각 경고 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관계 부처와 지자체가 국가·지방하천 본류와 지류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물길에 대한 '홍수 위해 경고시스템'을 구축해 국민 인명과 재산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과거에 준비했다가 시 행정권이 바뀌면서 추진하지 못했던 배수조와 물 잡아주는 지하터널 등도 광범위하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과 김대기 비서실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