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올해 전국의 평균 아파트값이 9년 만에 하락할 전망이다.
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시세)은 지난해 말 대비 0.14%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의 약세시장이 계속될 경우, 올해 전국 평균 아파트값은 2013년(-0.29%) 이후 8년간의 상승흐름을 멈추고, 하락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R114는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와 대출규제 강화, 주요지역의 가격 부담감 등의 영향으로 주택 거래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지금의 시장환경에 별다른 변화가 없다면, 약세국면은 추석연휴 이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17개 시도 가운데 지난해 말 대비 이달 현재 기준 평균 아파트값이 하락한 지역은 세종(-2.95%), 인천(-2.46%), 대전(-2.14%), 대구(-1.70%), 경기(-0.46%), 전남(-0.07%) 등 6곳으로 조사됐다.
또 서울(0.48%), 경북·울산(각 0.23%), 충북(0.18%), 충남(0.08%), 부산(0.06%) 등이 강보합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급매물 위주로만 간간이 거래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하락 전환이 임박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R114는 전했다.

반면 같은 기간 강원(2.02%), 제주(1.84%), 경남(1.31%), 광주(1.28%), 전북(1.22%)은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강원과 제주의 경우, 다른 지역들과 달리 지역전체가 비규제지역에 해당돼 투자수요 유입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어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정부가 세제개편안을 통해 공시가격 3억원 이하의 지방 주택을 보유하는 경우,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부과시 주택수 산정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하면서 일부 가수요도 유입되는 분위기라고 R114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