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최악의 재정난을 겪고 있는 한국전력공사가 수익 창출을 위해 출자한 상당수 민간회사들의 재무상태가 자본잠식 단계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다보니 투자액은 5000억여원이지만 회수금은 불과 220억에 불과했다. 한전의 재무상태가 더 악화될 수밖에 없는 지경에 처한 것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이 한전에서 제출받아 19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전이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출자한 국내 13개 민간회사 중 7개는 자본잠식 상태다.
한전은 이들 13개 출자회사에 5112억원을 투입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220억원만 회수해 출자금 회수율은 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 10개 회사로부텆는 출자금을 한 푼도 돌려받지 못했다.
이들 13개 회사는 △울릉도친환경에너지자립섬(80억원) △제주한림해상풍력(116억8000만원) △한국해상풍력(2128억원) △대구청정에너지(1억4000만원) △희망빛발전(23억8500만원) △켑코솔라(1000억원) △한국전기차 충전서비스(28억원) △켑코이에스(1500억원) △에너지인프라 자산운용(2억9700만원) △카페스(56억2938만원) △켑코우데(77억4225만원)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50억원) △한전산업개발(47억2700만원) 등이다.
한전은 이 가운데 한전산업개발로부터 204억4900만원, 한국전기차 충전서비스8억5374만원, 켑코솔라에서 7억4500만원 등 3곳에서만 220여억원을 회수했다.
자본잠식 상태 회사 대부분은 태양광·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을 시행하는 곳으로 다른 발전공기업과 함께 출자한 사례가 많다.
한전은 재정건전성 향상을 위해 회사가 보유한 출자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지만 이러한 부실 상황을 감안하면 여의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은 "정부와 주주의 투자와 세금으로 운영되는 한전이 방만한 경영으로 껍데기뿐인 공기업으로 전락했다"면서 "결국 국민이 최악의 재정상황을 감당해야 할 판"이라고 지적했다.
한전의 올해 상반기 영업 손실액은 14조3000억원으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한해 적자가 3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