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대출금리가 0.50%포인트(p) 오르면 약 8조원 규모의 대출 취급이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한국은행이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연 3%에서 0.50%포인트 더 오를 경우 가계대출 증가폭은 34조1000억원에서 26조3000억원으로 7조8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의 가계부채 평균 증감규모를 계산한 결과, 대출금리가 3%일 때 대출은 분기당 평균 34조1000억원 늘어난다. 그런데 금리가 오르면 대출증가세가 일정폭 줄어든다는 것이다.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0.75%포인트 오를 경우 각각 3조6000억원, 12조6000억원의 증가 억제효과가 있었다.
1.00%포인트가 한번에 오르면 억제되는 대출규모가 18조1000억원에 달해, 분기당 대출증가량이 16조원에 그치는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대출금리가 4%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리인상에 따른 대출억제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시장은 한은이 오는 10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지난 7월에 이어 사상 두번째로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을 밟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어, 대출억제 효과는 커질 수 있다.
홍성국 의원은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 생활에 필수적인 대출마저 참고 꺼리거나, 고금리로 대출장벽이 높아져 돈을 빌리지 못한 취약계층의 삶이 더 곤궁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책당국은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적 금융정책을 확대하고, 금리 급상승으로 금융시장 전체의 균형과 안정성이 낮아진 점에 주목해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