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개혁, 라이파이젠(raiffeisen)식 ‘협동‧연대 금융’으로
금융 개혁, 라이파이젠(raiffeisen)식 ‘협동‧연대 금융’으로
  • 정기석
  • 승인 2022.10.05 10:29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협의 개혁은 중앙회에서 시작해야...중앙회장부터 조합원들이 직선으로 선출해야

[정기석 칼럼] 한국 금융은 ‘관치금융’, ‘정치금융’으로 비판받는다. 정부가 금융을 통제하고 지배한다는 지적이다. 돈이 피라면, 금융은 혈관에 해당한다. 그런데 경제관료가 시장의 돈줄과 금맥을 틀어쥐고 있으니 피의 흐름이 원활하거나 자유롭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금융이 수시로 혈관협착증, 고지혈증, 심근경색 등 연관 질병에 시달리는 병인이다. 기업이나 가계라는 경제주체는 ‘돈이 필요한 곳에 돈을 공급하는 금융시스템’에 의해 적재적소에, 적절히 수혈을 받아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다. 고질적, 만성적 경영난, 민생고의 악순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금융이 문제다.

독일 농민의 구세주, 라이파이젠(raiffeisen) 은행

이런 ‘한국식 금융’과 전혀 다른 수준과 차원의 선진 금융시스템이 유럽에 있다. 라이파이젠 은행(raiffeisen bank)이다, '라이파이젠'은 사람 이름이다. 쾰른 남동쪽 작은 농촌마을인 바이어부쉬(Weyerbusch)의 시장이었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라이파이젠(F.W.Raiffeisen).오늘날 신용협동조합의 아버지로 추앙 받고 있다. 라이파이젠이 신용협동조합을 만든 것은 농민의 고리채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해서다. 19세기 독일의 봉건적 토지소유자와 지배 권력자로부터 농민을 구원하려는 시대적 사명감 때문이었다.

당시 독일은 봉건적 토지소유자와 지배 권력자가 야합한 산업혁명의 부작용과 악영향으로 시달렸다. 도시의 영세 독립 소생산자들과 농촌의 소작농들이 상업자본가의 고리채에 의존하며 가혹한 경제적 수탈을 당했다. 특히 1847년 대기근으로 독일 농민들은 기아에 허덕이며 극심한 민생고를 겪었다.

그때 굶주리고 죽어가던 농민들 앞에 라이파이젠이 구세주처럼 나타났다. 우선 마을 기금을 조성해 농민들에게 곡식을 외상으로 나눠주기 시작했다. 1849년에는 본격적으로 프람멜스펠트 빈농구제조합을 설립해 농민들에게 가축을 구입할 자금을 빌려주었다. 조합원 60명이 무한연대책임으로 돈을 빌려 가축을 사고 5년 동안 나누어 상환하는 대출방식이었다. 이렇게 농민들이 십시일반 힘을 모아 함께 세운 신용협동조합은 1862년에 라이파이젠 은행(Raiffeisenbank)으로 전환되었다.

신용사업 말고 경제사업도 소홀히 하지 않는다. 일종의 유기농업 관련 복합매장인 라이파이젠 마트를 운영한다. 유기농산물, 유기농식품은 물론 유기농종자, 유기농업 관련 농자재와 농기구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 도시의 소비자는 물론 농민들도 웬만한 먹거리와 농자재는 원스탑 쇼핑이 가능하다.

독일 금융은 농도상생 금융, 협동연대 금융

독일 경제의 기반은 가히 협동조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1300여 개에 달하는 신용협동조합, 시민은행(Volksbanken), 신용협동조합이 독일 경제와 농정을 떠받치고 있는 저변이자 저력이라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특히 라이파이젠 은행은 협동조합이라 증권거래소 기업공개도 안 되고 외부 투자 유치도 어려워 자금조달이 쉽지 않다. 적정한 수익을 유지하며 경영하기가 일반 상업적 법인에 비해 쉽지 않다는 뜻이다. 그래서 자구책을 마련했다. 1890년부터 조합원들에게 배당을 하지 않기로 했다. 수익금은 라이파이젠 은행 내부에 순자기자본으로 차곡차곡 적립, 축적되었다.

결과적으로 18세기 마을금고 수준에서 출발한 라이파이젠 신협은 오늘날 유럽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은행으로 성장했다. 특히 도시지역의 상인들이 1850년 세운 협동조합은행인 시민은행(Volksbanken)과 합병, 농도상생 금융, 협동연대 금융의 전범을 보여주고 있다.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재정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안정 경영을 고수하고 있다. 위기는커녕 오히려 조합원이 늘고 있다. 조합원 보호, 조합원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기 때문이다.

1000여 개 협동조합은행의 연합체인 푸랑크푸르트의 DZ방크(deutsch zentral-genossenschaft bank, 독일중앙조합은행)는 상위기구로서 협동조합은행의 안정된 경영전략과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책임진다. 구체적으로 예금자 보호를 위한 이중 보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회원조합의 분담금으로 설립한 보장기금(guarantee funds)과 보장망(guarantee pool)으로 나뉜다.

보장기금은 회원조합에 심각한 위기가 닥치면 보증과 대출을 제공해주고 보조금과 개선대책까지 수립해준다. 회원조합들의 보증으로 운영되는 보장망으로 예금도 전액 보장된다. 예금보호 한도에 제한이 있는 상업은행보다 더 안전한 것이다. 게다가 자체 보호제도는 연방금융감독청 감독 아래 안정적으로 운영, 독일에서는 1930년대 이후 단위 협동조합은행이 파산한 사례가 단 한 건도 없다고 한다.

한국 농협은 '라이파이젠식 농협'으로 재활해야

라이파이젠 등 독일의 협동조합은행을 생각하면, 한국의 농협이 저절로 겹친다. 그러나 둘은 많이 다르다. 오늘날 한국 농협은 일반 상업적 은행과 크게 차별화되지 않는다. '농민의 소득을 위한' 경제사업보다는 '농협이 돈 버는' 신용사업에 매달려 있다는 조합원 농민들의 비판을 받을 정도다. 지역농협조차 신용사업 수익을 중시, 농업소득과 밀접한 농산물 생산·가공·판매 등 경제사업은 적자사업, 환원사업으로 소홀히 하고 있다.

이른바 '신경 분리(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의 분리)'도 성공적이지 않다. 오히려 협동조합 방식이 아닌 주식회사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농협중앙회는 거대 지주회사로 변신하고 말았다. 농협중앙회는 '회원의 공동 이익증진과 그 건전한 발전을 도모(농협법 제1113조)'를 목적으로 하는 연합회 조직으로부터 더 멀어졌다.

농협의 개혁은 중앙회에서 시작해야 한다. 중앙회장부터 조합원들이 직선으로 선출해야 한다. 금융기관으로서 경제적 권력보다 협동조합으로서 사회적 책무에 충실하려면, '협동조합'이라는 본질적 정체성과 신뢰를 회복하려면 그게 최우선숙제이자 상책이다. 또 중앙회는 '회원조합을 지원하는 연합회'로 재편, 비사업적 기능에만 전념해야 한다, 사업은 회원조합의 연합회 체제로 전환하는 게 최선이다. 그렇게 농협은 ‘일반 금융회사’가 아니라 '농업협동조합의 원형'으로 돌아가야 한다. '라이파이젠식 농협'으로 재활, 재생되어야 한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필자소개>

정기석(tourmali@hanmail.net)

전국퇴직금융인협회 금융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경상국립대 창업대학원 6차산업학과 비전임교원

前 국회정책연구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