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김준희 기자]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완전히 새로운 변이가 나오지 않는다면 내년 봄에 실내 마스크를 벗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겨울철을 앞두고 예상되는 코로나19 7차 유행 이후에는 마스크 의무를 전면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7차 유행을 주도할 가능성이 있는 BQ.1, BQ.1.1 변이도 결국에는 오미크론 하위변이인 BA.5의 일종”이라며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현재 도입됐거나 도입 예정인 개량백신과 팍스로비드 등 치료제가 어느 정도 효력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7차 유행의 조짐은 이미 나타난 상태다.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3만5116명으로 이미 3만명대로 올라섰고, 지난 22일 196명으로 떨어졌던 위중증 환자 수는 이날 0시 기준 288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정 위원장은 “환자 증가세가 계속되면 7차 유행이라고 단정할 수 있지만, 지금은 증가세가 점진적으로 올라갈지, 빨리 올라갈지, 이 상태에서 정체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 3월 오미크론 대유행(5차 유행)으로 형성된 면역력이 11월이면 다 떨어질 것”이라면서 "11월에 시작해서 계속 올라가든, 조금 멈칫하다가 중순이나 12월 초에 올라가든 증가세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고위험자는 동절기 백신은 꼭 맞고, 전국 의료기관은 치료제 처방을 열심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최근 5주간 코로나19 중증화율이 0.12%에서 0.19%로, 치명률은 0.06%에서 0.09%로 증가했다”면서 "방역당국은 긴장해서 살펴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상승한 이유에 대해서는 진단을 받지 않은 숨은 감염자 영향, 고령층 등 고위험군 확진 비율 증가, 백신접종률 저하, BQ.1, XBB 등 신종 변이 등장 등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정 위원장은 "아직 국내 확진자 중 BQ.1, BQ.1.1 등 검출률은 1% 미만이지만, 이들 변이는 면역회피능력이 있고 전파력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철저히 관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동절기 예방접종률이 매우 낮아서 우려가 크다"면서 "이 면역력이 높지 않으면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더 높아지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규확진 1만8510명…1주 전보다 4천여명 증가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1만8510명 으로 누적 2555만7309명이라고 밝혔다.
1주일 전인 지난 24일(1만4296명)과 비교하면 4214명 늘었고, 2주일 전인 지난 17일(1만124명)보다는 7486명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 수는 288명으로 전날(272명)보다 16명 많다.
사망자는 18명으로 직전일(27명)보다 9명 줄었다.
누적 사망자는 2만9176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