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세제·샴푸 등 생필품, 등유 등 연료비도 대폭 올라…서민 부담가중
내주 우유가격 또 인상…빵·아이스크림·커피 '밀크플레이션' 우려

[서울이코노미뉴스 김한빛 시민기자] 밀가루와 치즈, 두부, 닭고기 등 주요 먹거리 가격이 1년새 20% 넘게 올랐다.
먹거리 뿐아니라 세탁세제와 샴푸 등 생필품 가격도 크게 뛰었다.
다음 주에는 우유제품 가격이 또 오른다. 더욱 우유를 재료로 사용하는 빵, 아이스크림, 커피 등의 '밀크플레이션'으로 이어져 서민들 시름이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10일 한국물가협회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11월9일) 서울 기준 밀가루(CJ 백설 중력분 1kg) 가격은 1봉당 1900원으로 1년 전(11월10일)보다 37.7%나 올랐다.
또 혼합 조미료(33.8%), 치즈(27.4%), 두부(25.0%), 식용유(20.8%), 소금(15.5%), 분유(14.2%), 햄(12.5%), 라면(11.4%), 설탕(11.2%), 고추장(9.7%), 참기름(9.4%), 커피(7.8%) 등 주요 가공식품의 가격이 일제히 상승했다.
같은 기간 맥주(OB 500㎖) 가격은 1410원에서 2020원으로 43.3% 올랐고, 소주(하이트진로 참이슬 후레쉬 360㎖)는 1280원에서 1380원으로 7.8% 상승했다.
고기값도 꽤 올랐다. 닭고기(생닭 1kg) 한마리 가격이 전날 9520원으로 1년 전보다 30.1% 급등했고,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15.9%, 11.7% 각각 상승했다.
무(96.6%)와 당근(60.4%), 감자(30.5%), 양파(24.8%), 토마토(13.1%) 등 채소와 오징어(110.6%), 김(15.5%), 조기(12.8%) 등 수산물 가격도 올랐다.
먹거리와 함께 주요생필품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화장지(유한킴벌리, 크리넥스 데코소프트 30롤×30m) 가격은 전날 3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55.3% 급등했다. 또 세탁세제(23.3%), 샴푸(20.2%), 주방세제(18.7%), 치약(10.3%)도 10% 넘게 상승했다.
가공식품과 음료, 생필품 가격은 해당품목의 주요회사 상품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품목의 전체 상승폭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연료비 부담도 만만치 않다. 등유는 L당 가격이 1242원에서 1724원으로 38.8% 올랐고, 도시가스도 1년새 38.4% 상승했다. 경유는 15.6% 올랐다.
반면, 휘발유는 유류세 인하 등으로 8.4% 내렸다. 사과·배 등 과일 가격은 1년 전보다 대체로 내렸고, 쌀 가격은 26.6% 하락했다.
앞으로 먹거리와 생필품가격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당장 내주 우유제품 가격이 또 인상된다. 우유 원유(原乳) 가격이 L당 사실상 52원 인상돼 유업체들도 유통사들에 우유 가격조정을 통보한 상태다. 매일유업은 오는 17일부터 가정에서 많이 마시는 900mL짜리 흰우유 제품가격을 2610원에서 2860원으로 9.6% 인상한다. 서울우유와 남양유업 등도 인상폭과 시기를 검토중이다.
한 관계자는 "우유제품 카테고리별로 인상폭과 시기를 검토중"이라며 "올해는 지난해보다 원유가격 인상폭도 크고 원/달러 환율상승에 따른 수입원료 가격과 물류부담도 커져 인상시기를 그리 늦추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유가격 인상은 빵, 과자, 아이스크림, 커피 등의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어 소위 '밀크플레이션' 발생 우려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