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강기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5일 "정부는 2026년 수출 5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모든 수출 지원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9회 무역의 날 기념식 축사를 통해 이 같이 말하고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와 같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 지역과 신규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해서 우리의 FTA 네트워크를 더욱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집트, 폴란드, 사우디 등에서 우리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확인한 원전, 방산, 인프라 건설, K-콘텐츠 등을 우리의 새로운 수출 주력 산업으로서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함께 “올해 한국이 고물가·고환율·고금리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큰 수출 성과들을 달성했다”면서 “이는 우수한 기술력과 도전 정신으로 세계 시장을 개척해 온 여러분들의 땀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사의를 표했다.
윤 대통령은 "수출은 늘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었으며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일자리의 원천"이라면서 1970년대 오일쇼크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마찬가지로 지금의 복합 위기도 수출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가 직접 주재하는 '수출전략회의'와 함께 '원스톱 수출·수주 지원단'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수주와 관련된 어려움을 신속히 해결하겠다"면서 "무역금융, 마케팅, 물류 등 수출 활동 지원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FTA 네트워크 확장과 관련, “현재 FTA로 한국과 연결된 나라들의 총 국내총생산(GDP)은 전 세계의 70~80% 수준”이라면서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국가들에게까지 경제 영토를 더욱 넓히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중동·중남미·아프리카는 유럽·아시아·북미에 비해 신규 FTA를 통한 교역 확대 효과가 큰 지역으로 꼽힌다.
아프리카 지역에는 우리와 FTA를 시행 중인 국가가 없다. 중동에서는 한-이스라엘 FTA가 지난 1일 발효됐다. 중남미에서는 칠레·콜롬비아·페루와 중미 5개국(파나마·코스타리카·온두라스·엘살바도르·니카라과)이 우리와 FTA를 체결해 자유무역을 하고 있다.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카타르·오만·바레인 6개국의 협력체인 걸프협력회의(GCC), 아르헨티나·브라질·파라과이·우루과이로 구성된 남미공동시장(MERCOSUR)과 FTA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중동·남미 일부 국가와의 FTA 협상이 진행 중이며 아프리카 지역도 사례 연구를 거쳐 FTA를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