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중산층' 60%안팎...'개천서 용난다' 기대감 줄어
'나는 중산층' 60%안팎...'개천서 용난다' 기대감 줄어
  • 한지훈 기자
  • 승인 2023.01.31 15:06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D 분석…정부복지 포함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 55%→61%
자녀세대 중산층 진입기대·소득이동성은 감소…"양질 일자리 필요"
이영욱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이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이영욱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이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중산층 비중은 61%까지 늘었지만 '노력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진다'는 기대는 줄었다.

특정기간의 소득변화 정도를 보여주는 소득이동성도 낮아진데다,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자산 불평등이 커져 '계층이동의 사다리'에 대한 희망이 줄어든 모습이다.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31일 이런 내용의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정부 복지혜택으로 최근 10년간 중산층 비중 60%대까지 확대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감소 등으로 중산층 축소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실제 중산층 비중은 최근 10년간 늘거나 유지되고 있다.

통계청에서 주로 활용하는 중산층 개념인 '중위소득 50∼150%' 비중은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2011년 54.9%에서 2021년 61.1%로 높아졌다.

다만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0년간 50% 안팎을 유지중이다.

시장소득은 근로·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돈'이고, 처분가능소득은 시장소득에다 연금·지원금 등 정부의 이전지출까지 포함한 소득이다.

시장소득 기준 중산층이 50%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은 60% 이상으로 늘었다는 것은, 최근 10년간 정부의 복지혜택이 중산층 확대에 영향을 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쓰는 중산층 기준인 '중위소득 75∼200%'로 보면 우리나라 중산층 비중은 2021년 61.1%로 OECD 평균 61.5%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중위소득 50% 아래인 빈곤층이 15.1%로, OECD 평균 11.4%보다 높다. 이는 특히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노력하면 계층상향' 인식 줄어…KDI,일자리 필요성 강조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이 실제 늘었을 뿐아니라, 스스로 '나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도 2013년 51.4%에서 2021년 58.8%로 높아졌다.

그러나 '계층이동 사다리'에 대한 믿음은 줄어드는 모습이다. 개인의 노력으로 더 높은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노력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매우 높다'와 '비교적 높다'로 응답한 비율은 2011년 28.8%에서 2021년 25.2%로 감소했다.

'자녀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1년 41.7%에서 2021년 30.3%로 낮아졌다.

실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시장소득, 처분가능소득 모두 소득이동성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달라지는 정도가 크지 않았다는 뜻이다. 

여기에 부동산 자산을 중심으로 자산불평등도 커지고 있다. 소득이동성 감소와 자산불평등 확대는 세대간 계층 대물림, 교육격차 확대로 이어지는 중이다.

보고서는 가구내 취업자 수가 늘고, 가구주 근로소득이 증가하면 빈곤층이 중산층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는 "정부의 이전지출을 통한 중산층 확대만으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계층 상향이동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뚜렷하다"며 "생산적인 활동을 통해 상향이동 가능성을 높이는 중산층 강화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은퇴 중·고령층의 고용기간 연장유도  ▲여성 배우자 취업 장애요인 해소와 ▲일 가정 양립 지원내실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