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수입산 전기차 리콜(제작결함 시정조치) 대수가 최근 3년 간 해마다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아 6일 공개한 '전기차 결함 및 조사, 리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간 전기자동차 리콜대수는 총 38만4994대였다.
이 가운데 국산차는 19만6063대, 수입차는 18만8931대로 특히 수입차의 리콜 대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산 전기차 리콜 대수를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만8724대에서 2021년 3만8239대, 2022년에는 13만1968대 등이었다.
2020년부터 2021년 사이에는 약 2.0배(104.2%) 늘어났고, 2021년부터 2022년 사이 약 3.5배(245.1%) 늘어난 것으로, 점차 증가 폭이 커졌다.
반면 국산 전기차 리콜 건수는 2020년 6만1880대, 2021년 6만770대, 2022년 7만3413대로 해마다 비슷한 수준이었다.
아울러 국산차·수입차를 모두 합친 결함 신고는 2020년 282건, 2021년 445건, 2022년 456건 등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함 신고는 3년 간 수입차가 483건, 국산차는 700건으로 국산차가 더 많았다.
전기차 화재 건수도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20년 11건에서 2021년 24건, 2022년에는 44건 등으로 2배 안팎씩 늘어났다.
김병욱 의원은 "전기차 수요와 판매가 늘어나면서 결함 신고와 실제 리콜 대수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관계 당국은 결함 신고서비스 운영을 충실히 하고, 결함 조사를 내실 있게 해 전기차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