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지난해 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 등 간편결제 서비스의 하루 이용금액이 20% 이상 급증하며 7000억원대를 넘어섰다.
토스와 카카오페이, SSG페이 등을 통한 간편송금도 크게 늘면서 일평균 6000억원대 실적을 기록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중 간편결제·간편송금 서비스 이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일평균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건수는 2342만건, 이용금액은 732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건수는 18.2%, 금액은 20.8% 늘어난 수준이다.
제공업자별로 보면 휴대전화 제조사의 간편결제 일평균 이용건수와 금액이 각각 717만3000건과 1853억원으로 전년대비 29.4%와 34.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선불금 기반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실적은 일평균 520만건, 6259억원으로 전년 대비 19.9%와 24.1% 늘어났다.
간편결제·간편송금은 지난 2015년 3월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된 이후 도입된 것으로 비밀번호, 생체정보(지문, 얼굴) 등의 간편 인증수단을 이용한 결제 및 송금 서비스다.

간편결제는 모바일에 미리 저장해둔 신용카드, 은행계좌 등의 정보 또는 충전한 선불금 등을 이용, 거래시 비밀번호 입력이나 단말기 접촉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하는 서비스다. 삼성페이 등 휴대전화 제조사, KB국민은행과 신한카드 등 은행 및 신용카드사들이 주로 제공한다.
간편송금은 모바일을 통해 계좌이체 등의 방법으로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나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해 수취인에게 송금하는 서비스다. 역시 시중은행과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은 물론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정보기술(IT)업체, SSG페이 등 대형유통업체에서도 간편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지난해 선불전자지급 서비스 이용실적은 하루평균 2708만건, 8289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13.6%와 24.5% 증가했다. 선불전자지급은 미리 충전한 돈으로 송금이나 상거래 대금결제,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것이다. 각종 '페이'와 교통카드, 하이패스카드 등이 모두 해당한다.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 이용실적은 하루평균 2366만건, 1조529억원 규모로 1년 전보다 8.9%, 16.4% 증가했다. PG서비스는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로부터 대금을 받아 판매자에게 최종적으로 지급하도록 결제정보를 송·수신하거나 그 대가를 정산 대행하는 서비스다.
지난해 아파트 관리비, 전기·가스요금 등 각종 이용대금의 수납과 정산을 대행하는 전자고지결제 서비스의 하루평균 이용건수와 금액은 25만건, 569억원으로 전년 대비 12.2%와 14.3% 증가했다.
결제대금예치(에스크로) 서비스 이용액수는 하루평균 1557억원으로 2.7% 증가했지만 이용건수는 2.0% 감소한 312만건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