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잔치' 비판에도 오불관언…은행들,올해도 대출 목표이익률 올려
'돈 잔치' 비판에도 오불관언…은행들,올해도 대출 목표이익률 올려
  • 한지훈 기자
  • 승인 2023.04.25 15:24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은행 목표이익률 0.31%p·농협은행 0.24%p 상향 등
예대금리차 확대로 역대급 수익…"목표이익률 낮추는 게 상식적"
5대 시중은행
5대 시중은행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일부 은행이 '돈 잔치' 비판속에서도 대출상품을 통한 목표이익률을 높여 눈총을 사고 있다.

금리상승기 속 예대금리차를 활용해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둬놓고도 재량껏 설정하는 목표이익률마저 높인 것을 두고 과도한 '이자 장사'를 벌인다는 지적이다.

25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주택담보대출 상품과 관련한 올해 목표이익률을 1.95%로 설정했다.

이는 지난해 1.64%보다 0.31%포인트(p) 상향한 것이다. 신용대출과 관련한 올해 목표이익률도 지난해보다 0.3%포인트 올린 2.15%로 잡았다.

NH농협은행은 주택담보대출 및 신용대출 목표이익률을 지난해 1.71%에서 1.95%로 각각 0.24%포인트씩 올렸다.

다만, NH농협은행은 지난 3월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행렬 속에서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에 일괄 0.3%포인트 우대금리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가산금리 수준은 전년보다 낮게 운용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주택담보대출 목표이익률을 지난해 0.7%에서 올해 1월 0.82%, 2월 1.1%로 상향했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은 1%에서 1.05%, 1.09%로 올렸다.

신한은행도 주택담보대출 목표이익률을 지난해 말 1.35%에서 올해 1.36%로 소폭 올렸다. 다만 신용대출은 지난해 말 1.83%에서 올해 1월 1.65%, 2월 1.63%로 낮췄다.

은행연합회의 대출금리체계 모범규준에 따르면 목표이익률은 '각 은행이 기대이익 확보를 위해 설정한 수익률'로 규정돼 있다.

대출금리는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전결금리'로 정해지는데 목표이익률은 업무원가, 법정비용 등과 함께 가산금리 항목을 구성한다. 다른 가산금리 구성항목들이 산식 등에 의해 고정값처럼 결정되는 측면이 있는 데 비해, 목표이익률은 각 은행에서 전략적으로 산정·부과하는 마진율이란 특징이 있다.

붐비는 은행 창구
붐비는 은행 창구

금융당국이 '예대금리차(예금·대출 금리차) 축소'를 공개 압박한 가운데서도, 핵심마진 구성항목을 상향조정한 것을 두고 최근 은행들이 내놓은 '상생금융' 진정성이 의심받고 있다.

특히 금리상승기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오르면서 예대금리차가 더 벌어지고, 그에 따라 은행 수익이 확대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마진율을 낮출 수 있는 여력이 충분히 생긴다는 설명이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리상승기에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오르는 속도 차이로 자연스럽게 예대금리차가 확대되고 수익도 늘어나는 구조"라며 "그렇기 때문에 목표이익률을 낮추는 게 상식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목표이익률을 금리상승기와 하락기에 어떻게 조정을 해야하는지 원칙이 제시될 필요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윤창현 의원은 "일부 은행이 큰 폭의 예대금리 격차를 통해 역대급 수익을 내는 가운데 목표이익률까지 조정해 추가수익을 거둔 사실이 확인됐다"며 "고금리로 국민경제가 신음하는 틈을 타 더 많은 이익을 거두려는 이같은 시도는 자제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은행권은 목표이익률이 '영업 기밀'에 해당한다며 공개를 꺼려왔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최근 목표이익률 등 가산금리 산정근거와 원가를 주기적으로 공시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