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취임후 첫 '삼성호암상' 행사...임지순·조성진 등 수상
이재용 회장 취임후 첫 '삼성호암상' 행사...임지순·조성진 등 수상
  • 한지훈 기자
  • 승인 2023.06.01 16:34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상식에 참석하는 이재용 회장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삼성그룹 창업자 호암(湖巖) 이병철 회장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삼성호암상'(옛 호암상) 시상식이 1일 열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회장 취임후 처음 개최된 삼성호암상 행사에 직접 참석해 수상자를 격려하고 인재양성 의지를 재확인했다.

◇임지순·조성진 등 수상,상금 3억원 …"인류문제 해결의 길 함께 개척"

호암재단(이사장 김황식)은 이날 오후 서울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수상자와 가족·지인, 삼성 사장단 등 2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3회 삼성호암상 시상식'을 열었다.

올해 수상자는 임지순(72) 포스텍 석학교수(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최경신(54) 미국 위스콘신대 교수(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선양국(62) 한양대 석좌교수(공학상), 마샤 헤이기스(49) 미 하버드의대 교수(의학상), 조성진(29) 피아니스트(예술상), 사단법인 글로벌케어(사회봉사상) 등이다. 조성진은 해외공연 일정으로 스승인 신수정 서울대 명예교수가 대리 수상했다.

김황식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학술, 예술, 사회봉사 분야에서 각고의 노력을 다해 인류사회 발전과 고귀한 인간사랑 실천에 큰 업적을 이룬 훌륭한 분들을 수상자로 모시게 돼 큰 기쁨이자 자랑"이라고 말했다.

임지순 교수는 "묵묵히 한가지 연구주제에 몰두하는 후배 과학자들에게 저의 수상이 조그마한 격려가 되기를 희망하며, 함께 진리탐구와 인류문제 해결의 길을 개척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최경신 교수는 "아직도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과학자란 직업이 세상에서 가장 멋진 직업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양국 교수는 "자신의 연구분야에 확신이 들었다면 긴 호흡으로 멀리 바라보라"고 말했다.

조성진은 행사엔 불참했지만 "초심을 잃지 않고 세계 클래식 음악계에서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더욱 정진해 나가라는, 그리고 지금도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젊은 음악가들에게 용기를 주는 상이라고 생각한다"는 소감을 전했다.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메달, 상금 3억원씩 총 18억원이 수여됐다.

왼쪽부터 임지순 포스텍 석학교수, 최경신 위스콘신대 교수, 선양국 한양대 석좌교수, 마샤 헤이기스 하버드의대 교수, 신수정 서울대 명예교수(조성진 피아니스트 대리 수상), 사회봉사상 사단법인 글로벌케어 추성이 공동대표, 박용준 회장.
왼쪽부터 임지순 포스텍 석학교수, 최경신 위스콘신대 교수, 선양국 한양대 석좌교수, 마샤 헤이기스 하버드의대 교수, 신수정 서울대 명예교수(조성진 피아니스트 대리 수상), 사회봉사상 사단법인 글로벌케어 추성이 공동대표, 박용준 회장.

◇이재용, 2년 연속 참석

이 회장은 지난해 시상식에 6년 만에 참석한 데 이어 올해도 시상식장을 찾아 수상자와 가족을 격려했다.

삼성호암상은 고 이건희 선대회장이 이병철 창업회장의 '인재 제일'과 사회공헌 정신을 기려 1990년 제정했다. 과학·공학·의학·예술·사회공헌 등의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뤄 '글로벌 리더'로 인정받는 국내외 한국계 인사를 선정해 시상한다.

올해까지 170명을 선정, 총 325억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과거 호암상 시상식에는 이건희 선대회장을 비롯한 오너일가가 함께 했으나, 2017년부터는 이건희 선대회장의 와병과 사법리스크 등의 이유로 오너일가는 불참한 채 수상자 중심의 행사가 치러진 바 있다.

관계자는 "이재용 회장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산업재편 가속화 등 복합위기 상황에서도 시상식에 참석, 선대의 '사업보국' 철학을 계승·발전시켜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삼성의 '뉴 리더'로서 사회와 함께하는 '미래 동행' 의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국세청 공익법인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호암재단의 총 기부금 52억 중 2억원은 이재용 회장이 냈다. 개인 자격으로는 이 회장이 유일하다.

호암재단은 이 회장의 제안에 따라 2021년부터 삼성호암상 과학분야 시상을 확대했다.

삼성은 삼성호암상 외에도 미래기술육성사업과 산학협력을 통해 국가 기초과학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760개 이상의 과제에 연구비 약 1조원을 지원했다. 삼성이 지원한 연구과제 관련논문이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 국제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기도 했다. 

산학협력에도 매년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국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호암재단은 오는 8월 초 방학을 맞은 전국의 청소년을 위해 수상자와 각분야 명사가 참여하는 온라인 지식강연회를 열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