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은행들이 신청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입출금내역 문자 알림 서비스는 월 이용료 800~1000원이 붙는 유료 서비스다. 종량제로 서비스에 가입하면 문자 1건당 이용료 20원이 붙는다. 반면 카드사들은 지난 6월부터 카드 결제 건당 5만원 이상 거래에 대해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1월 카드 3사(KB국민·롯데·NH농협)에서 1억400만건에 달하는 고객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난 이후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카드사를 대상으로 지침을 내린 결과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은행에 입출금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 실시를 이끌어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카드는 결제 때마다 회사 이윤이 발생하지만 은행 입출금은 은행 쪽 비용이 발생하는 구조다.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문자 1건당 20원씩 받지만 그중 12원가량은 통신사 수수료로 나가고 나머지도 자체 경비로 들어간다. 지금도 간신히 적자를 면하는 수준인데 서비스를 무료화하면 추가 부담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장 이헌욱 변호사는 “문자 알림 서비스는 최소한의 고객 보호장치”라며 “이용자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이 변호사는 “은행 역시 정보 유출이나 보이스피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만큼 더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한국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에서는 지난해 12월 개인정보 20여만건이 유출됐다. 씨티은행에서 유출된 정보 가운데 1912건은 실제 보이스피싱에도 이용된 것으로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