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휘갑칼럼>역사 교육의 목적은 올바른 역사의식과 국가관을 갖게 하여 국가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 교육의 내용은 역사적 사실의 기록을 넘어 국가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함축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일제 식민 지배에 의한 역사 왜곡에 남북의 이념적 편향에 따른 역사 왜곡까지 겹쳐 역사 교육에 심각한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왜곡되는 역사적 사실이 우리가 직접 경험한 근 현대사 부분이라는 점이다. 우리가 나서서 역사적 사실을 바르게 증언할 수 있고 대한민국은 훌륭한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근대국가로 진입하던 시기에 국력이 쇠잔하여 일제의 식민 지배라는 치욕을 겪었다. 그러나 이후 우리나라가 어려웠던 과정을 극복하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비롯하여 각 부문에 걸쳐 성취한 지금의 대한민국 모습은 세계 앞에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부분의 신생독립국이나 개발도상국이 공산주의 종주국 소련을 추종하다가 결국은 인민대중의 굶주림 속에 하나같이 허망하게 끝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건국 당시부터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정치 경제체제의 근본으로 삼았으며 이것을 대한민국의 정체성으로 지켜왔다. ‘쓰나미’같은 공산주의의 확산과 침략전쟁에 맞서면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발전시켜온 것이다. 그 결과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경제적, 사회적 발전과 민주주의를 성취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곧 대한민국이 건국당시에 국가의 방향을 올바르게 잡았고 이후에도 국가가 그 방향으로 잘 운영됐음을 입증한다. 대한민국은 훌륭한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성취에 자부심을 갖기는커녕 건국 6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들은 반미를 가르치고 이승만 건국대통령을 일방적으로 폄하하는가 하면 아직도 ‘북한의 6.25 남침’을 인정하지 않고 ‘천안함 미군 잠수함 충돌설’ 등 황당한 주장을 집요하게 반복하며 대한민국 흠집 내기에 몰두한다. 이런 게 바로 역사적 사실의 왜곡과 날조다.
나아가 이런 그릇된 믿음을 역사 교육이란 이름으로 청소년에게 전파하기도 한다. 이들의 주장 중에 우리나라는 정부 수립 후의 친일 청산이 미흡했고 북한은 친일 청산을 제대로 했다는 내용이 있다. 이런 주장에는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설령 어느 정도 수긍되는 부분이 있다 해도 역사를 만드는 수많은 가닥 중에서 일부 문제를 빌미로 우리나라 전체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부정하는 수법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 북한을 제외하고 소련, 중국을 비롯한 모든 공산주의 국가가 개혁 개방을 하며 공산주의 계획경제체제를 포기한 마당에 도대체 어떤 체제를 따르겠다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폄하한단 말인가. 발전된 대한민국의 온갖 혜택을 향유하면서 반(反)대한민국을 외치는 이들의 짓거리가 궁색하기 짝이 없다.
우리의 근현대사는 일제 식민지배라는 치욕과 고통, 독립투쟁, 해방 이후 1950년대의 자유민주주의 국가 건설, 6.25 공산 침략 저지, 1960~1980년대의 산업화, 1970~1980년대의 민주화, 1990~2000년대의 세계화로 점철돼 있다. 자랑스러운 것이 있는가 하면 부끄러운 것도 있다. 그러나 하나하나가 우리의 소중하고 중대한 역사의 발자취이며 어느 한 부분도 다른 부분보다 덜하고 더함이 없다 할 것이다. 각 부문에 걸쳐 역사의 증언자들도 현존하고 있다. 누구에게도 우리가 몸소 경험한 역사적 사실까지 왜곡되게 하는 짓을 방치할 수는 없다.
역사는 여러 세대에 걸쳐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이 겪은 일들이다. 역사는 정치 경제 과학 기술 행정 외교 군사 등 각 부문의 사건을 망라한다. 특히 근현대사는 현재 살아 있으면서 각 부문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경험한 사람들이야 말로 올바른 역사 기술에 최적의 증언자라고 할 수 있다. 역사는 역사를 전공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며 누구에게도 역사 기술을 전횡할 능력이나 권한이 없다.
이념이나 정치적 견해에 따른 선입관을 바탕으로 미리 결론을 내려놓고 여기에 역사적 사실의 해석이나 평가를 꿰맞춘다면 그것은 역사 조작이며 역사에 대한 죄악이다. 이런 식으로 교과서가 잘못 집필되면 역사를 배우는 학생들은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부정하고 나아가 우리나라를 경시하고, 지금의 발전상을 고마워할 줄 모르게 될 것이 뻔하다. 역사 교육은 미래를 위한 것이다.
#이 칼럼은 "(사)선진사회만들기연대의 '선사연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필자소개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초빙교수
(전)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원장
(전) 공정거래위원회 정책국장, 사무처장, 상임위원
(전) 경제기획원·통계청 과장/국장, The World Bank Econom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