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시스템에 가장 크게 위협이 될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가계부채가 꼽혔다. 최근 남북 화해 무드 조성으로 대북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위기감은 누그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의 ‘2018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를 가장 많이 뽑았다. 가계부채 누증(74%)은 그 뒤를 이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0%)도 리스크로 봤다.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리스크를 파악하기 위해 한은이 2012년부터 매년 두 차례 국내ㆍ외 금융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선 설문조사로, 이번에는 지난달 16~27일 총 72명을 상대로 진행됐다.
특히 보호무역주의를 위험 요인으로 꼽은 비율은 직전 조사인 작년 11월 26%에서 50%포인트나 급등(76%)해 눈길을 끌었다. 가계부채에 우려를 나타낸 전문가 비율은 작년 87%에서 이번에는 13%포인트 쪼그라들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응답률도 15%포인트,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6%포인트 각각 축소됐다.
반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조사 때 82%에서 이번에는 38%로 낮아졌다.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주요 리스크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꼽혔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부동산시장 불확실성도 단기에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이지만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1~3년 사이 발생할 수 있는 중기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누증이 지목됐다. 발생했을 때 영향력으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시장 등의 순으로 평가됐다.
한편 전문가들은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56%)는 쪽에 무게를 뒀다. '높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하지만 1∼3년 이내 금융시스템에 위기가 올 수 있다는 가능성에는 '높다'가 38%로 '낮다'(20%)를 앞질렀다. '높다'라는 응답률은 작년 11월 조사 때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앞으로 3년간 국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해볼 때는 '높다'고 보는 전문가가 36%로 '낮다'(11%)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