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평균부채 8256만원…30대·소득하위층 증가율 높아
가구당 평균부채 8256만원…30대·소득하위층 증가율 높아
  • 윤석현 기자
  • 승인 2020.12.17 14:58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채증가율 4.4%…코로나 영향에 신용대출·카드대출 확대
금융부채 보유가구 67% "원리금 상환부담"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가 8000만원대 시대로 접어들었다. 30대 가구와 소득하위층 중심으로 부채가 많이 늘었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생계가 어려워진 가구가 많아 신용대출과 카드대출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은 17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가구 평균부채 8256만원…30대·소득하위층 부채증가율 높아

올해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부채는 8256만원이다. 1년전(7910만원)보다 4.4% 늘어난 것으로 전년 증가율(3.2%)을 웃돌았다.

부채중 금융부채가 6050만원, 임대보증금은 2207만원이다. 금융부채는 담보대출 4743만원, 신용대출 868만원, 카드대출 71만원 등이다.

통계청 임경은 복지통계과장은 "담보대출 증가율 자체(3.5%)는 예년에 비해 높지 않지만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57.5%)이 높았다"며 "부동산 가격이나 전월세 보증금이 증가한 측면과 연동해 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채가 있는 가구의 비율은 63.7%로 0.2%포인트 떨어졌다. 부채가 1000만∼3000만원인 가구 비율이 17.2%로 가장 높았다. 1000만원 미만(16.4%), 1억1000만∼2억원(15.9%), 3000만∼5000만원(11.1%) 순이었다. 3억원 이상인 가구는 10.4%였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1억1327만원으로 최다였다. 50대 9915만원, 39세이하 9117만원, 60세이상 5279만원 등의 분포를 보였다. 지난해 대비 증가율은 39세 이하(12.2%)가 가장 높았다. 30대와 29세 이하의 증가율이 각각 13.1%, 8.8%였다. 특히 30대의 부채증가율은 50대(6.4%), 40대(6.0%)의 배 수준이었다.

소득분위별 평균부채를 보면 최상위층인 5분위가 1억8645만원, 4분위 9975만원, 3분위 6851만원, 2분위 4056만원, 1분위 1752만원이었다. 부채증가율로 따지면 1분위(8.8%)와 2분위(8.6%)가 5분위(5.3%), 4분위(1.4%), 3분위(3.0%)보다 월등히 높다.

기재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생계자금 수요 등 영향으로 소득 1·2분위 부채와 신용대출(+10.5%)·카드대출(+22.7%) 증가율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임 과장은 "기준이 3월말이라서 코로나19 영향이라면 3월 부분만 포함됐다"며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조사하다 보니 코로나19 영향인지 아니면 이전에 쌓여온 영향인지를 구별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자영업자 가구의 부채는 1억1796만원으로 6.6% 증가했고, 상용근로자(1억6만원)는 5.5% 늘었다.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금융부채 비중이 80.3%였다.

◇금융부채 보유가구 67% "원리금 상환 부담"...부채비율 18.5%

전체 가구의 57.7%가 금융부채를 갖고 있었다. 금융부채 보유액은 40대 가구가 1억197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 가구가 8559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가구주 연령이 높아질수록 전체 부채에서 금융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9세 이하 가구는 금융부채 비중이 82.3%였으나 60세 이상인 가구는 60.1%로 나타났다.

금융부채 보유가구가 체감하는 상환부담은 전년보다 다소 커졌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67.6%가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전년 응답률보다 1.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6.7%는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답했다. '대출기한 내에 갚을 수 있다'는 비율은 73.4%였다.

1년후 부채증가의 주된 원인으로는 부동산 관련(34.5%), 생활비(29.6%), 사업자금(14.8%), 교육비(9.6%) 등이 꼽혔다.

올해 3월말 기준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18.5%로 1년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부채증가율(4.4%)이 자산증가율(3.1%)을 웃돌아 자산 대비 부채 비중이 증가했다.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39세 이하 가구(28.6%), 자영업자 가구(20.9%), 소득 4분위 가구(20.2%), 순자산 1분위 가구(81.1%)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2%포인트 늘어난 79.3%였다. 이 비율은 역시 39세 이하 가구(140.3%), 자영업자 가구(112.2%), 소득 4분위 가구(92.2%), 순자산 1분위 가구(324.5%)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처분가능소득의 24.6%로 나타났다. 쓸 수 있는 돈의 약 25%는 금융부채의 원금·이자를 갚는 데 쓰는 셈이다. 이 비율은 지난해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