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까지 원전 비율 유지"…“원전 기술과 인력 유지 고려해야”

[서울이코노미뉴스 강기용 기자]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4일 문재인 대통령의 헝가리 국빈 방문 중 불거진 '탈원전' 논란과 관련해 “우리의 탈원전 기조는 흔들림 없이 그대로 간다”고 강조했다.
논란은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아데르 야노시 헝가리 대통령이 회담 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원전 에너지 사용 없이는 탄소중립이 불가하다는 것이 양국의 공동 의향"이라고 밝히면서 비롯됐다. 이에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국내에서는 탈원전을 강조하면서 외국 정상을 만나서는 원전의 효용성을 인정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박 수석은 "(그런 이야기는) 우리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면서 "우리가 탄소중립을 위해 오늘내일 원전을 폐쇄하겠다는 입장은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박 수석은 “원전의 비율이 주는 대신에 태양광이나 풍력, 특히 해상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높여가고 수소에너지 비율을 높여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것”이라면서 “우리가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한 2050년까지 우리는 여전히 원전의 비율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국내에서는 신규 원전을 짓지 않겠다고 해놓고 외국 원전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모순 아니냐’는 질문에 “(한국과 외국이) 서로 윈윈하는 협력 방안을 찾으려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신규 건설은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지만 앞으로도 상당 기간 원전을 통한 발전이 있을 것”이라며 “국내 원전 산업 기술이나 인력을 유지한다는 차원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개발한 원전 기술이나 노하우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면서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가장 최근에 원전을 건설하기도 했고 우리만큼 예산이나 공사 기간을 맞춰 원전을 건설하는 나라가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