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보라 기자]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2년 뒤 주택가격이 최대 1.4% 하락할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1차 연도 말에 0.25∼0.35%, 2차 연도 말에 0.65∼1.40% 낮아진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조사국은 3일 '주택시장 리스크 평가' 보고서를 통해 "주택가격이 최근 하락세로 돌아선 가운데 기준금리는 올해 여러 차례 추가로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오른 뒤 2년이 지나면 금리 인상의 영향만 분석했을 때 주택가격 하락 폭이 최대 1.40%에 이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준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주택가격 고점 인식, 차입 여건 악화 등도 주택가격 하방 요인으로 지목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소득, 임대료와 비교했을 때 전국의 주택가격은 과거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고점에 다다랐다는 인식이 있다"면서 "최근 금리가 오르고 가계부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점도 주택가격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2003년 이후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이 2019년을 제외하고 지속해서 5%를 상회하는 점 등도 주택가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다만 주택 공급이 부진하고 보유세와 정비사업 규제가 완화된 점은 주택가격 상승을 부추길 요인으로 봤다.
한은은 "최근 주택가격의 상하방 요인이 혼재된 가운데 하방 요인이 점차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주택가격은 금리뿐만 아니라 자금조달 여건, 주택 수급 상황, 정부 정책, 기대심리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