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지난해 소비자물가 부담은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 중위 60%가 가장 크게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가계의 물가 부담이 청년층 가구보다 컸다.
통계청은 2일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물가 통계를 각 가구의 지출 비중 등에 따라 재조정한 ‘2021년 및 2022년 가구특성별 소비자물가 작성 결과’를 발표했다.
지출 비중이 높은 항목의 물가가 크게 오를수록, 가구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라간다.
발표에 따르면 소득 중위 60%의 지난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5.2%였다.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1%였던 점을 고려하면 소득 중위 60%의 물가 부담이 전체 가구 평균보다 컸던 것이다.
소득 하위 20%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전체 가구와 같았다. 반면 소득 상위 20%는 5.0%로 산출돼 전체 가구보다 낮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가구주인 가계의 물가 상승률이 5.3%로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다음으로는 40∼59세(5.1%), 39세 이하(4.9%)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낮을수록 물가 부담이 작았던 것이다.
60세 이상 가구와 청년층인 39세 이하 가구의 물가 상승률 차이는 0.4%포인트였다.
가구원 수로 보면 1인 가구의 상승률이 4.8%로 2인 이상(5.1%)보다 낮았다. 가구주가 근로자인 가구의 상승률은 5.0%로 근로자 외 가구(5.2%)보다 낮았다.
가구 특성별 소비자물가는 국가승인통계가 아닌 실험적 통계로 가구 특성별 가중치를 적용해 산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