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비대칭' 해소로 민간자본 유치…9월 정보공유 플랫폼 구축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농식품 산업에 5조원 규모 민간주도의 투자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농식품분야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5년간 정부 재원 6000억원과 민간자본 5조원을 포함해 총 5조6000억원의 투자재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우선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 정보 부족과 비대칭 문제 해소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동향, 우수 경영체에 대한 투자정보 분석보고서를 연간 80개 발행하고, 관련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오는 9월 '투자정보 공유 플랫폼'을 구축한다.
투자설명회도 1년에 20회 이상 개최한다.
NH농협은행 등 금융기관을 통해서는 담보력은 부족하지만 유망한 경영체를 위해 기술력, 성장 가능성 등 비재무적 평가를 강화한 여신상품을 출시, 2027년까지 총 4조3000억원의 신규여신을 공급한다.
또 농식품부는 민간출자금을 모집해 투자목적의 자펀드에 출자하는 민간 모펀드 조성기반을 마련한다.
올해 법적 근거를 마련해 2027년까지 1000억원 규모의 민간 모펀드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3000억원 이상의 민간펀드를 결성해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등 농식품 신산업 유망경영체에 투자하도록 뒷받침한다.
중간회수 수단인 세컨더리펀드도 2027년까지 총 1500억원 규모로 추가 결성한다. 세컨더리펀드는 다른 펀드가 보유한 주식을 매입하거나 출자자(LP)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거래하는 펀드다.
한국거래소와 협업해 농식품 경영체 전용 상장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나아가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정책펀드를 1조원 이상 결성해 스타트업, 청년, 지역 등 정책지원 필요 분야에 중점 투자하고, 후속 투자 활성화 등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농식품 분야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