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0%' 청년적금 68만명 중도해지…가입자 4명 중 1명꼴
'금리 10%' 청년적금 68만명 중도해지…가입자 4명 중 1명꼴
  • 이보라 기자
  • 승인 2023.06.21 14:34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만원 미만 납입' 해지율 49.2%…고물가·고금리에 저축여력 급감
현 정부 '청년도약계좌'도 이탈방지 추가대책 논의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보라 기자] 연 최고 10%대 금리효과를 내는 정책상품인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출시 당시 고금리에 일부은행 앱이 마비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청년층 주머니 사정이 갈수록 나빠지며 가입자 4명 중 1명꼴로 적금을 깼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현황'에 따르면, 해당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가입자는 289만5546명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 5월 말 기준 중도 해지자수는 68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중도해지율은 23.7%로 나타났다.

납입 금액대별 해지현황을 살펴보면,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다.

납입한도인 50만원을 꽉 채워 납입한 청년들의 경우, 중도해지율이 14.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애초 납입여력이 되는 청년들이 납입기간에 생긴 변수에도 대처가 용이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해지율이 낮은 편이었다. 가입 상한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에 달했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고자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정책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동안 매달 50만원 한도로 납입할 경우, 정부 지원금(저축장려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높은 금리 수준에 출시초기 은행앱이 먹통이 될 정도로 가입신청이 폭주했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명으로 예측했으나, 300만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그러나 고물가·고금리에 저축여력이 줄고 지출변수가 많은 20·30 세대의 급전수요가 맞물리며 중도해지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 36만원의 정부 지원금이 만기시 한꺼번에 지급되는 구조라 매달 쌓이는 이자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측면도 중도해지율을 높였다는 분석도 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아래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 방지 방안을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공약 중 하나로,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4000원) 등을 더해 5000만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만기가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보다 3년가량 길지만 적금유지율 목표는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며 "추가적인 적금유지 방안을 위해 연구용역도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가입자가 급전수요에 중도해지하지 않도록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한 적금담보부대출 운영, 햇살론 유스 대출시 우대금리 지원방안 등을 내놓은 바 있다.

매달 쌓이는 정부 지원금과 이자 수준을 은행 계좌나 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시스템도 개발중이다.

강민국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