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덫' 빚더미…20대이하 은행 연체율 역대 최고 0.44%
'청춘의 덫' 빚더미…20대이하 은행 연체율 역대 최고 0.44%
  • 한지훈 기자
  • 승인 2023.08.07 11:22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말 주담대 0.44%로 치솟아…'19세이하' 연체율 20%,카뱅은 27% '헉'
"고용불안속 전월세대출 등 못갚아…혼인·출산율에도 부정적"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미성년자에서 갓 벗어난 만 19세와 20대가 빚더미에서 허덕이고 있다.

연령특성상 직업이 없거나 고용이 불안한 이들이 전세나 월세 자금을 대출받고 이자조차 제때 갚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소득기반 등이 취약한 30대 이하의 연체율이 당분간 계속 더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청년층의 과도한 빚은 결국 금융불안, 소비위축은 물론 저출산까지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20대이하 연체 5년새 7.5배…30대 연체율도 약 3년만에 최고

7일 국내 19개 은행(시중·지방·인터넷은행)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연령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현황' 자료를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만20대 이하 연령층의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4%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의 시계열상 2018년 3분기 말이후 약 5년 만에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사실상 역대 최고 수준이라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2018년 이전 연령별 연체율이 제출되지 않았지만, 최근 5년사이 부동산 가격급등과 저금리 등으로 20대의 대출과 연체액이 급증한 만큼 연체율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20대 이하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월 말 현재 34조2500억원으로, 2018년 9월 말(13조4700억원)의 2.54 배에 이른다. 

같은 기간 해당연령대의 연체액도 200억원에서 7.5 배인 1500억원으로 뛰었다.

30대·40대·50대·60세 이상 연령층의 연체율은 2분기 말 기준 각 0.17%, 0.21%, 0.20%, 0.21%를 기록했다.

30대의 경우 2019년 3분기 말 0.17% 이후 가장 높다. 40대는 2019년 4분기 말 0.21% 이래 최고 수준이었다. 

50대와 60대는 각 2020년 2분기 말 0.20%, 같은 해 1분기 말 0.22%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카뱅 19세이하 연체율 27%…"청년 전월세대출 정책상품 탓"

특히 '20대 이하' 연령층을 세분해 '19세 이하'와 '20대'로 나눠보면, 19세 이하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말 현재 20.0%에 이르렀다.

지난해 1분기 말까지 줄곧 0%였던 19세 이하 연체율은 지난해 2분기 말 12.5%에서 불과 1년사이 7.5%포인트(p)나 뛰었다.

이는 주택금융공사 보증부 청년 전·월세대출 정책금융상품의 영향이 크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경제 취약계층인 청년층의 전세보증금과 월세를 지원하자는 취지로 도입된 이 상품은 만 19세 이상 30세 이하 청년 가운데 '무소득자'도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당연히 연체발생 가능성이 커 일반 시중은행들이 판매에 소극적인 반면, 이 상품의 비대면 대출절차까지 갖춘 카카오뱅크가 전체 청년 전·월세 대출상품의 약 60% 이상을 취급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뱅크의 19세 이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6월 말 현재 27.0%까지 치솟았고, 나머지 은행들의 19세 이하 연체율도 4.2%로 높아졌다.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에서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받은 만 19세 청년들 가운데 대부분이 무소득자"라며  "일자리나 고정수입이 없는데다 금리까지 오르자, 이자를 갚지 못하는 취약청년층이 늘고 연체율도 오른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도 "은행들이 대부분 내부규정상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에게는 대출하지 않기 때문에, 만 19세 이하 연령층의 은행 연체율은 사실상 만 19세의 연체율과 같다"며 "주로 학생이나 비정규직 청년들이 원룸 등의 전·월세를 얻기 위해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직업이 없거나 일정하지 않고 금융과 신용에 대한 개념도 희박하기 때문에 연체율이 급등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은 "30대이하, 소득기반 취약…연체율 빠르게 오를 가능성"

한은도 20·30대 청년층의 부실대출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 6월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취약차주(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신용등급)의 연체율을 보면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 연체율이 최근 상당히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 가운데 30대 이하 차주(대출자)의 비중이 과거보다 높은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2013∼2019년 취급된 가계대출 가운데 30대 이하 차주의 대출비중은 29.6%였지만, 2020∼2021년 가계대출의 경우 같은 연령층의 비중이 38.3%로 커졌다"며 "해당차주들의 소득기반이 여타 연령에 비해 취약한 만큼, 한동안 30대 이하를 중심으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게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청년층의 빚 부담은 금융시스템의 잠재 불안요소일 뿐아니라, 사회문제인 저출산 현상을 부추길 가능성도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수년사이 주택매매 가격은 물론 전월세 시세도 뛰면서 젊은 층이 갈수록 대출에 의존하는 상황"이라며 "젊은 층의 빚이 늘어날수록 이자부담 등으로 결혼과 출산연령이 늦춰지고 아예 혼인이나 출산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