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용률 60% 첫 진입…저임금 근로자비율은 남성의 2배
여성 고용률 60% 첫 진입…저임금 근로자비율은 남성의 2배
  • 이보라 기자
  • 승인 2023.09.06 10:59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가부,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발표
1인가구 1년새 4.7% 증가…성폭력 발생·검거건수 늘어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양성평등주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양성평등주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보라 기자]  지난해 여성 고용률이 처음 60%대에 진입했다. 여전히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남성의 2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과 가정폭력 검거건수는 늘었고, 연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교제폭력 범죄자 수는 줄었다.

여성가족부는 제28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해 여성과 남성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살펴보는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6일 발표했다.

이 통계는 1997년부터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돼 왔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2022년부터는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으로 변경됐다.

2022년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0.0%로, 2010년(52.7%)보다 7.3%포인트 상승해 처음으로 60%대에 진입했다.

그러나 여성 임금근로자 중 저임금(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 근로자는 22.8%로, 남성 저임금 근로자비율(11.8%)의 2배가량이다.

저임금 근로자비율은 2010년 남성 16.2%, 여성 39.8%였는데, 12년새 각각 4.4%포인트, 17.0%포인트 줄었다.

성별 임금격차는 2010년 대비 개선됐지만,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1만8113원으로 여전히 남성(2만5886원)의 70.0% 수준에 머물렀다.

여성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68만3000원으로, 남성(413만7000원)의 65.0% 수준이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2000가구로 2021년보다 4.7% 증가했다. 남성 1인가구는 30대(22.0%), 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았다.

지난해 초혼건수는 14만8000건으로 전년보다 0.6% 감소했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각 0.3세, 0.2세 상승했다.

가사노동을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자는 2022년 기준 여성이 23.7%, 남성은 18.2%로 2년 전보다 각각 1.4%포인트, 2.9% 감소했다. 

2019년 기준 맞벌이 여성의 평균 가사노동 시간은 맞벌이 남성보다 2시간13분 많았다.

성폭력 검거건수는 2021년 기준 2만9013건으로 전년보다 8.9% 증가했고, 검거인원은 3만2137명으로 0.6% 감소했다.

사이버 성폭력 발생건수는 4349건으로 같은 기간 10.0% 줄었으나, 불법촬영물 발생건수는 1355건으로 60.9% 늘었다.

교제폭력 범죄자 수는 1만975명으로 7.7% 줄었고, 스토킹 검거건수는 542건으로 12.7% 증가했다.

폭력 상담건수는 85만9967만건으로 9.7% 증가했고, 이중 가정폭력 상담이 60%(51만4006건)를 차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