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도입해 실시간 대화 가능…'영업점 수준 상담' 목표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보라 기자] 시중은행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금융서비스에 접목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특히 기존 데이터 학습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생성형 AI 적용은 금융산업의 신성장 동력 내지 금융서비스 혁신의 핵심축으로까지 불리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실시간 금융상담과 질의응답이 가능한 대화형 AI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기존 서비스는 단순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챗봇과 주고받거나 음성명령을 자주 묻는 질문(FAQ)으로 처리하는 정도였다. 지금은 친구와 대화하듯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수준에 이르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앞서 키오스크 형태로 선보인 AI 금융비서 '꿀비서'를 모바일에 탑재하기 위해 내부에서 베타테스트를 진행중이다.
어느 정도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공식출시 전 일반고객에게도 베타테스트 참여를 개방해 서비스 고도화를 시도할 계획이다.
신한금융지주 계열사인 신한AI는 지난 8월 생성형 AI 기술과 금융데이터 분석을 결합한 서비스인 '모물'(모르면 물어보세요) 데모버전을 공개했다.
신한AI를 청산하기로 한 신한금융은 관련업무를 각 그룹사로 이전해 서비스 개발과 출시 준비작업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한 고객상담 서비스 'AI 뱅커'를 출시하기 위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달중 구축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내년 3월께 은행의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인 '우리WON뱅킹'에 이 서비스를 탑재해 예·적금 상품상담 등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영업점 수준의 상담을 목표로 한다.
대고객 서비스 질 향상뿐 아니라 은행 경영측면에서 효율화를 견인하는 지렛대로 AI를 활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팩스 등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자동추출해 수기입력 등 전산화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시간을 절약해주는 광학문자인식(OCR) 도입이 대표적이다.
은행 내부에서도 생성형 AI 도입시도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외부 정보기술(IT) 업체들과 내부 직원용 지식챗봇에 생성형 AI를 도입하기 위한 개념 검증을 수행중이다.
하나은행은 고객의 개인정보 유출과 악용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생성형 AI 활용도 추진하고 있다.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은 지난달 31일 한국은행 세미나에서 "업무 자동화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적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은행들이 이런 서비스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고객 이탈을 최소화하고 결과적으로 은행 매출을 증대할 수 있다는 기대도 깔려 있다.
맥킨지는 지난 6월 보고서에서 "생성형 AI 도입으로 은행산업 매출의 2.8∼4.7%가 증가할 것"이라며 최고 3400억달러(약 447조원)의 가치창출을 전망한 바 있다.
오 센터장은 "고객이 서비스 품질개선을 체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은행 업무속도가 빨라지고 은행원 스트레스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