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 회수 포기 대출 2조원 육박…1년 새 49% 증가
4대 금융, 회수 포기 대출 2조원 육박…1년 새 49% 증가
  • 김보름 기자
  • 승인 2024.02.27 10:29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 둔화, 고금리 장기화 등 때문…'추정손실' 역대 최대
연합뉴스

[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국내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이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사실상 포기한 대출 채권 규모가 2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율은 KB금융이, 손실 규모는 신한금융이 가장 컸다.

경기 둔화와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상승 등이 이유로 꼽히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의 지난해 말 기준 추정손실은 총 1조966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 1조3212억원에서 1년 사이에 48.8% 급증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금융그룹별로 보면, KB금융의 추정손실 규모는 2022년 말 2123억원에서 지난해 말 3926억원으로 84.9%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신한금융은 5759억원에서 7514억원으로 30.5% 증가했다. 액수로는 4대 금융그룹 가운데 규모가 가장 컸다.

하나금융은 2350억원에서 3430억원으로 46.0%, 우리금융은 2980억원에서 4790억원으로 60.7% 각각 증가했다.

비상장회사인 농협금융은 그룹 연결 기준 추정손실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계열사인 농협은행 기준 추정손실은 1179억원에서 1335억원으로 13.2% 증가했다.

금융회사의 자산 건전성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고정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여신이며 고정 이하 여신은 부실채권(NPL)으로 분류된다.

건전성이 가장 낮은 단계인 추정손실은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예상가액 초과분 등에 해당하는 자산으로 사실상 회수를 포기한 대출이다.

연합뉴스

연간 추정손실이 급증한 주요 원인과 관련해 KB금융은 "경기 침체로 인한 취약 차주들의 자산 건전성 악화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핵심 계열사인 은행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건전성이 나빠졌다는 것이다.

KB국민은행의 추정손실은 2022년 말 865억원에서 지난해 말 1801억원으로 2배 넘게 늘었다. 5대 은행 가운데 액수와 증가율이 모두 가장 컸다.

신한금융은 "신용회복위원회의 사전채무조정에 따라 카드사의 추정손실이 늘었다"면서 "증권사의 경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을 보수적으로 재평가해 여신을 다시 분류했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개인대출, 중소기업·소호 대출, 부동산 개발 금융, 해외 상업용 부동산 등의 부실이 증가한 결과"라고 밝혔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해외법인 취급 여신의 연체, 부동산 PF와 카드사 연체 등의 영향으로 추정손실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추정손실을 포함한 4대 금융그룹의 전체 고정이하여신도 2022년 말 5조3997억원에서 지난해 말 7조9378억원으로 47.0% 증가했다.

이에 따라 금융그룹들은 연초부터 리스크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다.

취약 차주에 대한 조기 신용 평가, 고위험 차주 선별, 부실기업 대출에 대한 조속한 정리,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 강화 등 필요한 수단을 총동원하고 있다.

4대 금융그룹은 지난해 연간 총 8조9931억원에 달하는 대손충당금을 적립해 2022년보다 73.7% 늘린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